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
정신
머릿골
뇌
두상
지능
지성
d라이브러리
"
두뇌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신호를 전달한다.이 프로세서는 새로운 정보를 접하면 회로를 재배열 할 수 있다. 사람
두뇌
의 시냅스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 이같은 인지 컴퓨터는 궁극적으로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 쓸 수 있다. 프로젝트 리더인 IBM의 다멘드라 모다 박사는 “인간의 뇌를 역공학으로 분석해 마음을 재창조하려고 ... ...
PART 4 수학퍼즐 200배 활용법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직접 퍼즐을 만들어 보는 일은 퍼즐을 푸는 것보다 몇백 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두뇌
에 자극도 주고 창조의 기쁨도 누리고 말이지. 세상 어디에도 없는 퍼즐을 처음부터 만들 수는 없으니까 기존의 퍼즐의 숫자를 바꾸거나 규칙을 바꿔 나만의 퍼즐을 만들어 봐. 퍼즐을 만든 다음엔 답이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개선된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전 세계의
두뇌
들이 이와 비슷한 연구를 동시에 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았다.나름대로 창의적인 방식을 내놓고 보면 이미 다른 논문에서 다룬 적이 있었다. 아이디어는 좋았어도 ... ...
나는 대한민국 수학 국가대표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직접 해 봐야 아는 것이니까요.넓고 깊은 수학의 세계에 첫발을 내딛은 사람들. 명석한
두뇌
에도 꾸준히 노력하고 협동의 의미까지 아는 이들에게 수학의 길은 활짝 열려 있다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일본의 외골격 로봇인 HAL이 근전도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사람의
두뇌
에서 근육 쪽으로 넘어오는 신경을 분석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근전도 방식보다 한층 더 진보한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뇌 과학자들은 뇌세포 내에서 바로 신호를 꺼내는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됐다. 고대포유류가 다른 동물들에 비해 감각기관, 특히 후각과 촉각이 많이 발달한 것이
두뇌
와 신경계 발달로 이어졌다는 것이 티모시 교수팀의 설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5월 20일자에 실렸다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치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서바이버에서는 단순한 육체 게임만이 아닌 치밀한
두뇌
게임도 같이 벌어진다.] 먼저 리처드가 오래 버티기에서 켈리와 루디를 이겨 켈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루디가 오래 버티기에서 이겨 켈리와 리처드 중 아무나 선택해 우승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켈리가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아니라 집중력도 기를 수 있거든요. 또 집중력은 물론이고 암기력, 판단력 등을 키우며
두뇌
를 계발하는 데 도움이 돼요.”계산은 계산기로 하면 되지 굳이 암산을 할 필요가 있느냐고 생각했던 기자의 생각을 바꾸는 대답이었다. 암산은 계산뿐 아니라 더 폭넓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암산으로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생인류에 가까운 신체 특징이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두뇌
크기와 신체적 특징(예를 들면 직립보행)이 함께 변화했다는 기존 주장을 뒤집을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해 윌 아르농쿠르-스미스 뉴욕자연사박물관 큐레이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처럼 어설픈 직립보행을 하는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07년 주제 ‘수학과 뇌’ 현대 수학에서 가장 흥미로운 도전 과제 중 하나가 사람
두뇌
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수학을 이용하면 뇌 전체에 대한 원리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 하나까지 이해할 수 있다. 함수 사이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는 미분방정식을 이용하면 뇌의 기능을 알 수 있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