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터"(으)로 총 7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업계의 주춧돌=정밀공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실시간으로 진단하는 기술이다. 각종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진동, 소음, 절삭부하, 모터 전류, 재료 탄성파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들을 수집하고 적절한 신호처리 기법을 적용해 기계 상태를 확인한다. 공작기계를 진단하는 것은 가공 라인의 자동화 및 무인화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노즐용 미세홀 ... ...
- 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바퀴를 굴러가게 하는 동력원이다. 가솔린엔진, 디젤엔진으로 나뉜다. 배터리와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전기차, 엔진과 배터리를 동시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있다.최근 자동차 선택의 키워드는 친환경, 고연비, 소형화, 안전성(스마트)이다. 전문가들은 가솔린엔진의 경우 ‘직접분사(GDI) ... ...
- ‘21세기 일류기업’ 씨뿌리는 초전도 전도사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예를 들어 초전도 전동기(모터)를 만들면 무게나 부피를 10분의 1로 줄이면서도 힘은 더 크게 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미국에서는 군함용으로 개발할 정도다. 풍력발전기를 만들면 작은 부피로 전력을 생산해 효율을 크게 높일 수 ...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멤스) 기술로 몸체를 만들고 탄소나노튜브 소재로 날개를 만들었다. 초소형 배터리와 모터도 직접 만들었다.박훈철 교수는 올 1월 ‘큰 각도로 날갯짓을 하는 비행체’라는 이름으로 풍뎅이 비행체에 대해 미국 특허를 받았다. 연구팀은 풍뎅이 비행체가 리모컨 없이 1초에 35~38회 날갯짓을 하며 ... ...
- PAL-VON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운전면허 외에 경비행기 면허증을 보유해야 한다.모터쇼에 등장한 경비행기?2012 뉴욕 모터쇼에 출품된 미국 테라푸지아의 ‘트랜지션’도 시험 비행에 성공한 플라잉 카(Flying Car)로 주목받고 있다. 올 3월 420m 상공을 약 8분간 비행했으며 2013년부터 판매될 예정이다.예상판매 가격은 약 3억 원으로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수백㎏ 정도를 들 수 있는 유압모터는 어떨까? 물총과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는 유압모터라면 변신로봇이 팔을 들수 있을지 몰라. 하지만 더 무거운 걸 들거나 큰 힘을 쓰기에는 한계가 있어.사람의 팔은 자기 무게의 수십 배에 달하는 무게도 들 수 있단다. 동물에게는 유연하고 힘 센 근육이 있기 ... ...
- 2012 FLL KOREA 현장 속으로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있도록 무게를 줄였다. 보통 한 로봇에 모터를 3개 쓰는데, 딱 한 개만 쓰기로 한 것이다. 모터 대신 로봇에 식품 모형을 건질 수 있게 어망 같은 도구를 달았다.FLL KOREA는 단순한 로봇 경기 대회가 아니다.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도 있다. 각 팀별로 ‘식품’에 관련된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 ...
- 입는 컴퓨터 옷이포디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스마트폰과 옷이 블루투스로 통신하며 옷으로 4D효과를 전송한다. 옷에는 소형 진동모터, 송풍팬, 물분사기 등이 장착돼 장면에 맞는 4D 효과를 만들어낸다. 맥박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면 맥박의 변화를 감지해 사용자가 영화를 보고 얼마나 흥분했는지 파악할 수도 있다 ... ...
- 중력을 거부하는 글라이더, 모스 글라이더과학동아 l2012년 02호
- 있다. 나방처럼 생겼다고 해서 이름이 ‘모스 글라이더(moth glider)’다. 건전지와 모터가 달린 것도, 태양광전지가 달린 것도 아니다. 아무런 동력이 없는데도 떨어지지 않는다. 단, 계속 날려면 한 가지 조건이 있다. 날고 있는 모스글라이더 아래 평평한 판을 대 줘야 한다.모스 글라이더가 중력을 ... ...
- 플레밍 왼손법칙이 만들어내는 무선 충전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가능하다. 왜 이제야 상용화됐을까 플레밍의 왼손법칙은 오늘날 발전기나 변압기, 모터를 만들 때 핵심이다. 전류와 자기장, 힘의 방향을 정립했기 때문이다.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은 2000년대 초반 선진국에서 이뤄졌다. 우주에서 태양광을 받고 무선으로 지상에서 전력을 받는 실험이다.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