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레
국민
종족
동족
국가
한겨레
친척
d라이브러리
"
민족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Haplotype Map Project)는 다양한 집단에서의 일배체형 변이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 여러
민족
을 대상으로 게놈 시료를 확보하는 중이다. 이 시료로 통해 밝혀지는 일배체형은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누구나 이용 가능하게 공개된다. 국제일배체형지도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질환유발 ... ...
1. 최근 학력 파괴 경향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인식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여기에는 과학 내부의 문제와는 별도로, 일본과의 오래된
민족
감정과 경쟁심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특히 올해는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일본인 다나카 고이치에 대한 관심이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가 단백질 연구와 관련한 실험 도구를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유용하게 이용된다. 러시아 지방의 아무르 강, 우수리 강의 하류 유역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
인 나나이족은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배를 타고 연어와 송어를 잘 잡는 것으로 유명하다.이런 기술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무대로 살아가는 여진족에게도 그대로 전수돼 우리 선조들이 골탕을 먹었다. ... ...
1. 한반도에 숨겨진 희귀약초 캐낸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고유 자생식물만도 4백여종이 된다.이처럼 풍부한 자생식물은 오랜 역사 동안 우리
민족
과 함께 하면서 다양한 혜택을 줬다. 가장 손쉽게 생각할 수 있는 혜택은 자생식물이 오래전부터 우리에게 영양을 제공하는 중요한 먹거리로 이용됐다는 점이다. 벼라는 작물이 대규모로 경작되면서 주식이 된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전세계 방방곡곡에 애국가가 울려 퍼졌다. 애국가 첫머리를 장식하듯 동해는 우리
민족
과 끊을 수 없는 관계다.그렇다면 우리는 동해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 것일까. 안타까운 일이지만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동해가 멀어야 울릉도, 독도를 포함한 남한에 연한 바다라고만 생각한다. 그러나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국의 붉은 인파는 6월 4일 폴란드전 50만에서 22일 스페인전 5백만으로 급증했다.우리
민족
의 결집력을 전세계에 알린 길거리응원은 사람들을 거리로 내모는 나름대로 독특한 매력을 가진다. 거리에서 함께 응원하다 보면 가슴 속에서 꿈틀대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적으로는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과연 허준과 동의보감이 얼마만큼 역사적 가치가 있는가’라는 점이다. 한의사가
민족
의학의 대표저작으로 ‘동의보감’을 꼽고 있고, 수많은 의사가 허준을 모범으로 삼으며, 심지어 지하철 행상까지도 ‘동의보감’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 누구도 이 문제에 시원한 답을 내리지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부위가 알려져 있다고 해서 곧바로 친자감별에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복 부위는
민족
에 따라 다른 분포를 갖는다.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의 황적준 교수는 “아무 반복 부위나 쓸 수 없고, 한국인에게 유의미한 곳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황교수는 지난 몇년 간 한국인의 DNA 통계분포를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있다.진달래와 벚나무도 꽃이 지면 무슨 나무인지 기억 하지 못하고, 우리
민족
이 가장 좋아한다는 소나무와 잣나무도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보는 이들의 눈 높이에 맞춰 산에서 만나볼 수 있는 나무를 묶어 산나무 편을,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나무를 묶어 도시나무 편을 만들었다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왜 지금 한국 과학사를 생각하게 되는가’로 시작된다.우리는 어릴 때부터 수없이
민족
문화의 과학적 우수성과 창의성에 대해 듣고 배운다. 하지만 과학 문화유산에 대해 과연 얼마만큼의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있고, 또 얼마나 제대로 그 가치와 의미를 알고 있을까.한국 과학사를 다루려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