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닥"(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LHCb를 이용해 B중간자(B meson)의 붕괴를 관측하던 중 발견됐다. B중간자는 6종류의 쿼크 중 바닥 쿼크(bottom quark)를 포함해 총 2개의 쿼크로 이뤄진 입자다. B중간자는 다양한 경로로 붕괴하는데, 그 중 매우 드물게 또 다른 중간자인 K중간자로 붕괴하면 기본입자인 전자와 전자의 반물질인 양전자로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검출해 낸다. 무거운 이온 충돌을 검출하는 데 특화된 ‘앨리스(ALICE)’, 기본 입자 중 바닥 쿼크(bottom quark)를 포함하는 강입자(기본입자 중 쿼크와 글루온으로 이뤄진 합성입자)를 검출하는 능력이 뛰어난 ‘LHCb’, 양성자 및 중이온 충돌 실험에서 중요한 기본입자 뮤온 검출에 탁월한 ... ...
- 확률형 아이템 논란, 득템이 어려운 진짜 이유는?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마블’! 어린 시절 친구들과 땅을 사고팔며 최고의 부자가 되는 인생의 단맛과 한순간 바닥으로 추락하는 쓴맛을 알게 해준 추억의 보드게임 ‘부루마블’의 모바일 버전 게임이죠.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제가 계속 지기만 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 이유는 좋은 아이템으로 무장한 유저들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전 투병을 하실 때는 돌아가면서 간병을 했다. 엄마는 외할머니가 장지로 갈 때 정말 바닥에 주저앉아 애처럼 엉엉 울었다. 그런데 지금 그 엄마가, 외할머니 영정 사진을 데이터로 써도 된다니. 이건 신종 부모 욕보이기인가 아닌가. 고인에게 개인동의서를 받을 수야 없겠지. 초상권도 상속되나?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제는 놀이터조차도 고무바닥이다. 도시 속 어디에서도 내가 어린 시절 뛰어놀던 흙바닥을 찾기란 쉽지 않다. 흙 놀이를 할 수도 없고, 개미 집도 발견할 수 없다. 작지만 놀라운 자연을 탐구할 기회를 이제는 쉽게 얻기 힘들다. 트리플래닛은 이런 환경에서 어린 친구들이 자연의 여러 혜택을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찾아가죠. 이렇게 개미가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는 페로몬에도 수학이 담겨있습니다.바닥에 뿌린 물이 시간이 지나면 증발해 없어지듯 페로몬도 증발합니다. 이때 같은 시간 동안 증발하는 양의 비율이 남아있는 페로몬의 양에 비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시간에 따른 페로몬의 증발은 ... ...
- [기획] 개미는 빛의 경로를 따르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부드러운 펠트지와 거친 펠트지를 바닥에 깔아놓고 거친 펠트지 위에 먹이를 놓은 뒤 개미가 이동하는 경로를 살폈습니다. 그 결과, 개미들은 비교적 속도가 빠른 부드러운 펠트지 위에서 더 많이 움직인 반면, 속도가 느린 거친 펠트지에서 적게 ... ...
- [매스크래프트] #16. 학익진 전법의 일등공신 '도형의 닮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닿습니다(점 E). 같은 방식으로 파란 막대기의 끝(점 G)을 지나는 직선은 2.5m 뒤 지점에서 바닥에 닿죠(점 F). 이 상황에서 빨간 막대기부터 적군의 배까지 거리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도훈도들은 삼각형의 닮음을 사용해 계산했습니다. 위 그림에서 △ABE와 △DCE가 닮음이므로AB:BE=DC:CE입니다. ...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속에 빠진 곤충은 왁스처럼 미끄러운 벽면 때문에 헤어나지 못하고 버둥거리다 포충낭 바닥에 고인 액체로 떨어져 익사한다. 이후 포충낭의 소화샘에서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소화된다. [Caution] 영양분을 보충한다며 곤충을 너무 자주 주면 안 된다. 식충 행위는 좋지 않은 환경에서 어쩔 수 없이 ... ...
- [인포그래픽] 추진력 향상 운동 '힐 드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트레이닝 방법과 함께 인체에 대한 지식도 얻을 수 있다. 다리 아랫부분발목의 발바닥굽힘근인 장딴지근(비복근), 발꿈치힘줄은 장력을 받아 길이가 늘어나면서 발꿈치의 하강 속도를 조절한다. 이 편심수축 작용은 종아리와 발꿈치힘줄을 복합적으로 강화해 보행 중 발이 지면에 닿을 때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