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실험을 시작했다. 그러다 1883년 높은 온도로 가열된 금속이나
반도체
표면에서 전자가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됐다.곧바로 전구 안의 필라멘트 옆에 금속판을 놓고 실험했다. 이때 금속판은 필라멘트보다 전자가 부족한 상태였다. 이 상태로 전구 안에 전류가 흐르자 필라멘트는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했다. 이렇게 발견된 탄소나노튜브는 지금도 군사, 자동차,
반도체
, 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풀러렌은 1985년까지 발견되지 않았지만, 사실 ‘불’이 발견되면서 만들어진 물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어느 누구도 관심도 받지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받았답니다.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은
반도체
나 액정 등 다양한 곳에 쓰일 수 있어요.
반도체
에 들어가는 비싼 금속을 대신하거나 더 가벼운 액정에 사용돼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열을 전달하는 플라스틱열을 전달하는 플라스틱도 있어요. 최근 미국 미시간대학교 김진상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반도체
와 부도체를 차례로 쌓은 구조에서 초전도현상이 발견되기도 해요. LED 같은
반도체
소자 대부분도 이종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그만큼 2차원물질 이종구조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답니다.예전의 전 자신감이 없었어요. 단순하고 밋밋한 제 모습과는 달리, 뭔가 있어보이는 3차원이나 4차원 같은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컴퓨터 성능이 곧 한계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칩 용량이 18개월에 2배씩 향상된다는 ‘무어의 법칙’이 수십 년 안에 끝날 것으로 본다.이런 한계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능이 기대에 못 미친다. 미국 IBM사는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양자점 TV입니다. 양자점은 지름이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로 작은 나노입자로 구성된
반도체
입니다. 빛을 비추면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다시 발산하죠. 양자점 TV는 이런 나노입자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반도체
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미래에는 전자 하나를 이용한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이다. 양자컴퓨터나 양자정보통신 기술 말이다. 이른바 양자공학의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에너지 재료를 선택한 이유는.굉장히 우연한 기회였어요. 제가 MIT에서 유학을 할 당시엔
반도체
가 뜨는 분야였어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쪽으로 진학했어요. 하지만 IMF로 사정이 나빠져 저는 장학금을 주는 교수님 연구실로 들어가게 됐죠. 근데 그 교수님이 에너지 재료를 연구하는 교수님이었던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데
반도체
기술과 원심분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가능 해졌다.
반도체
를 만들듯이 규소 원자가 빈틈없이 규 칙적으로 배열된 공을 만들고, 이 중 무게가 조금 다른 동위원소는 원심분리 기술을 이용해 제거한다.두 번째는 꽤 어렵다. 와트저울이라는 것을 사용하 는데 간단히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