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벨
탁령
물방울
거품
포말
기포
초인종
d라이브러리
"
방울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풍부하게 들어 있다. 바닷물 1L이면 석유 300L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로서는 탐나는 기술이 아닐 수 없다.우리의 목표는 분명했다. 선진국들과 다른 방법으로 ‘퀀텀 점프’를 이루자는 것. 연구진들은 선진국이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꼭 필요한 것이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물과 콩물로 반죽한다.➋ 꽈리치기 반죽을 뜨거운 증기로 찐 후 절구 등을 이용해 공기
방울
이 생기도록 찧는다. 꽈리치기가 잘 되어야 유과의 바삭한 맛이 좋아진다.➌ 건조 꽈리치기가 끝난 반죽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 건조 시킨다.❹ 건조가 끝난 반죽을 기름에 튀겨 준다. 이 때 유과가 처음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2009년 혈액 한
방울
로 간암을 찾아낼 수 있는 단백질을 찾아내 세계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 아시아 최초의 프로테오믹스(단백질체학) 연구소인 이곳의 단백질 분석 기법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프로테오믹스의 3대 국제학술지 가운데 하나인 ‘프로테오믹스’가 2003년 이후 세 번이나 한국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세척한 후 개별포장해 판매한다.마이크로 버블이 세균을 죽이는 방법은 또 있다. 공기
방울
이 터질 때 순간적으로 6000℃의 고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로도 세균과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다. 이 때 발생하는 40kHz(킬로헤르츠, 1kHz=1000Hz)의 초음파도 효과적이다. 마이크로 버블을 포화시킨 물로 사과를 ... ...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영화 초반 샘이 인간이라는 사실이 탄로 난 이유는 샘이 프로그램과 대결하다 피를 한
방울
흘렸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서 프로그램들은 부상을 입을 때 피를 흘리지 않고 몸을 만든 코드가 깨져 나간다. 또 케빈의 가상현실 속 분신인 클루는 늙지 않는 반면, 케빈은 현실세계에서처럼 늙는다. 한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이용해 3차원 프린터 기술을 개발했거든요. 최근에는 인쇄용 프린터처럼 작은 액체
방울
을 뿌려서 3차원의 물체를 만드는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요. 하지만 아직 2010년에는 3차원 프린터의 가격이 1억 원정도로 비싸요. 게다가 석고나 플라스틱 등 한 가지 물질로만 3차원 물체를 만들 수 있지요. ... ...
물리학으로 물 먹는 고양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떠 마셔요. 하지만 저는 다른 동물들과 다르게 독특한 방법으로 턱이나 수염에 물 한
방울
안 묻히고 물을 마실수 있답니다. 이 속에 놀라운 물리학이 숨어 있다는 걸 미국의 물리학자들이 발견해서 화제가 됐지요.물 마시는 방법 속에 물리학이 숨어 있다고요? 어떻게 물을 마시는 건가요?혀 끝을 ... ...
볼수록 매력만점! 곤충은 내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방울
이 굴러가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
방울
벌레’의 소리야. 수컷
방울
벌레는 앞날개를 펼쳐 비비면서 소리를 내는데, 이 소리가 매우 아름다워서 사람들이 애완곤충으로 키우기도 해. 그래서 이 곳에서는 나날이 인기가 높아지는 애완곤충도 연구하고 있어. 많은 곤충을 ... ...
출동~! 뉴칼레도니아 생태탐험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현재는 남반구 일부 지역에만 남아 있어.블루리버파크에서는 도깨비 방망이 모양, 솔
방울
모양, 강아지풀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의 잎을 가진 아로카리아 나무를 볼 수 있었어. 아로카리아 나무는 현재 전세계에 딱 19종이 남았는데, 그 가운데 13종이 뉴칼레도니아에 살고 있거든. 섬이 된 뒤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물고기들과 달리 허파로 숨을 쉬지요. 그래서 숨을 내쉬면 머리 위의 숨구멍에서 공기
방울
이 솟아난답니다. "츄라우미 수족관에는 연구 인력만 50명이 있어요. 수족관에서는 해양생물을 보여 주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의 생태를 연구하고 또 멸종 위기로부터 보호하기도 한답니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