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설"(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2. 대기오염 물질의 흐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뿜어내는 매연,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공해 물질 등 오염 물질로 이뤄진 입자가 여러시설물에서 나와 이동합니다. 이런 입자들이 어디로 갈지 알아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점성이 있는 액체와 기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식, 바로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이용해 구할 수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제시하게 하는 등 제도적으로 라돈을 적극 관리하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제정돼 있지만 시장이 작다. 에프티랩의 휴대용 라돈 검출기는 국제라돈학회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자신감을 얻은 고 대표는 2016년 국내 시장에 라돈아이를 내놨다. 블루투스를 ... ...
- [중국유학일기] 책 660만 권 보유한 우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도서관의 기본 시설이 그다지 우수한 편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학 도서관도 시설이 좋은 편이거니와, 도서관 외에도 스터디용 공간이 많고, 여차하면 카페에서 공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우한대 근처에는 공부하기에 적합한 카페가 몇 군데 없고, 24시간 운영 카페는 전혀 없다. 도서관을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다가온 2017년 12월 16일을 전후해 보현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를 포함한 국내외 8개 관측시설을 가동했다. 당시 파에톤은 지구와의 거리가 40년 만에 가장 가까워 제일 밝았으며, 데스티니 플러스의 임무 설계를 위해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적기였다.필자가 이끄는 연구팀은 약 한 달간 ... ...
- Part 2. 올림픽이 남긴 환경 파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런 일이 흔한가요? 도로가 서식지를 쪼개다올림픽을 개최하려면 경기장과 숙소 등 시설을 잇는 도로도 건설해야 해요. 2010년 캐나다 밴쿠버올림픽은 밴쿠버와 북쪽으로 125km 떨어진 휘슬러, 두 도시에서 경기를 치렀어요. 그리곤 선수와 관람객들의 이동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두 도시를 잇는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서버와 통신장비, 스토리지(저장장치) 등 인터넷 데이터에 필요한 장비가 모여 있는 시설을 말한다.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비디오 스트리밍,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공유하는 사진, e메일, 온라인 게임 등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가 데이터센터를 통해 운영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009년 이란 핵시설에 비상이 걸렸다. 우라늄을 농축하는 이 시설에는 원심분리기가 3000개 정도 있었는데, 그중 1000개가 고장 난 것이다. 제어 시스템에도 별다른 이상이 보이지 않았다. 원인은 미궁 속으로 빠진 가운데, 6개월의 긴 조사 끝에야 ‘범인’이 밝혀졌다. 범인의 정체는 ‘스턱스넷(Stuxnet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결정했어요. 결국 가리왕산 숲의 일부가 파괴됐지요. 당시 산림청은 올림픽이 끝난 후 시설물을 철거하고 지형과 식생을 복원한다는 조건으로 강원도에 사용 허가를 내 줬어요. 그런데 작년 10월, 강원도청은 입장을 바꿔 곤돌라를 그대로 두겠다고 발표했지요. ‘경기 후 전면 복원’이라는 약속을 ... ...
- [나의 미국 유학일기] 스탠퍼드의 '인생 수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해서, 수업 내용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학생에게 워낙 지원을 많이 해주고 시설이 좋은 학교인 만큼 실험 수업이 매우 우수한 환경에서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다. 시약을 아껴 써야 한다거나, 장비 하나를 쓰기 위해서 몇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일은 절대 없다. 보통 실험 수업은 같이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쿠아리움과 같이 생물을 가둬둔 시설에서만 야생동물을 만날 수 있다. 최근 이런 시설이 동물에게 각종 병과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제기되며 다른 생물과 소통하는 방식에 관한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등장했다. 그런 점에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