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호칭이 붙는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김슬기. 서울대 과학학과 박사과정
연구원
.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다. friends1133@naver ... ...
팩트체크5.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아 해저에 축적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해수에서 안정적인 형태로 존재해 해수에서 농도 변화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
은 “다만 입자에 잘 달라붙는 원소들은 식물플랑크톤과 같은 입자에 부착돼 심층으로 가라앉을 가능성이 있다”며 “가라앉는다는 것은 바닷물의 상층부에서 방사성 물질이 제거되는 것으로 볼 수도 ... ...
[이그노벨상] 롤러코스터와 아이스크림으로 질병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그동안 소문으로만 전해져오던 아이스크림의 효능이 입증되는 순간이었다. 야신스키
연구원
팀은 논문에서 아이스크림 처방의 장점으로 “간단하고 구현하기 쉽고 가격도 저렴하며, 무엇보다 환자에게 부담이 적다”고 밝혔다. 나아가 더 큰 무작위 연구를 진행해야겠지만, 소아암 환자를 포함해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
과학동아
l
2023년 07호
담당했다. 서면으로만 연구를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는 논문 연구와 달리, 회의에서 타사
연구원
들과 직접 대면해 기술에 대해 치열하게 논의하는 과정이 생동감 있게 느껴졌다. 제안한 기술이 긴 논의 끝에 표준 기술로 채택됐을 땐 약간의 뿌듯함도 있었다. 양자통신이라는 낯선 분야에 뛰어들다 ... ...
[화보] 다음 겨울에 또 만나! 겨울철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철새란 해마다 정기적으로 번식지와 월동지를 왕복하는 새를 뜻해요. 겨울철새는 겨울이 되면 북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한반도로 ... 떠나죠. 올겨울에도 다양한 겨울철새들이 우리나라를 방문했다고 하는데요. 지구사랑탐사대 배윤혁
연구원
이 보내온 겨울철새 사진을 소개합니다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미세중력 환경을 조사함은 물론, 이에 맞는 치료법 개발도 한창이다. 현재 기초과학
연구원
과 함께하는 면역항암제 실험이 그 중 하나다. 그런데 600m를 낙하하는 시간은 10초 남짓이다. 그렇다고 탑을 무작정 높게 쌓기도 어렵다. 미세중력을 좀 더 오래 구현하는 방법은 비행기를 타고 높이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루카 세치니 이탈리아기술
연구원
박사과정
연구원
은 “씨앗 로봇은 전선과 배터리 없이도 토양 표면 탐사와 모니터링을 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생물에서 영감을 얻는 접근 방식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수집하는 저비용 기기를 만들 수 있었다”고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팀은 이득 아닐까? 아쉽게도 그런 행운(?)은 없을 것 같다. 연구를 이끈 크리스토퍼
연구원
은 “평균적으로 따뜻한 지역에 연고지를 둔 야구팀은 더 많은 홈런을 치겠지만 홈런의 개수가 많은 것과 팀 순위와는 별개다. 순위에는 선수의 자질, 팀의 플레이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한다”고 말했다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중인데, 지금이 딱 뛰어들 타이밍”이라고 권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문홍규 한국천문
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탐사그룹장과 함께 현재 유력하게 거론되는 화성 테라포밍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짚어봤다. 가장 유명한 건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의 주장이다. 화성의 극지방에는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바이오컴퓨터가 일상에 들어오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코티컬 랩스의 변승훈
연구원
은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 측면에서는 이미 바이오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보다 데이터를 훨씬 적게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케이건 박사는 “5년 내로 신약의 성능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