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d라이브러리
"
완벽
"(으)로 총 2,3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학약품 안 넣고 가습기 물 소독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사회적 문제가 됐던 가습기 살균제나 수영장 소독약 등 화학약품 없이도 물을
완벽
히 살균할 수 있다”며 “앞으로 유해 화학약품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물을 살균·소독해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doi: 10.1016/j.apcatb.2019.11791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2016년 ‘네이처’에 실렸는데, 당시 네이처로부터 “현존하는 유전체 분석 결과 중 가장
완벽
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연구원은 이듬해인 2017년 미국 국립보건원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로 옮겨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는 1990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HGP) 를 처음 시작한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각기 다른 음성으로 표현한 단어들을 데이터로 학습한 결과물입니다. 비록 아직까지
완벽
하게 알아듣는 수준은 아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말귀를 잘 알아듣게 될 겁니다. 화학 반응으로 냄새 알아내는 전자 코 이번에는 후각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로봇이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요? 사실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데까지 성공시켰다. 라이트세일 2호는 태양풍을 이용해 궤도 상승은 물론 방향까지
완벽
하게 제어한 첫 우주 물체가 됐다. 4만 명의 후원이 만든 ‘라이트세일 프로젝트’라이트세일 2호의 성공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모금을 통해 예산을 충당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행성협회 측은 라이트세일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있는 일이었다. 이를 보강해 1998년 6월 11일 2차 발사를 수행했다. 두 번째 시도에서는
완벽
하게 날았다. KSR-Ⅱ는 우리나라가 고도 100km 이상의 ‘진짜 우주’로 보낸 첫 물체였다. 크리스마스이브, KSR-III를 선물받다KSR-I과 KSR-Ⅱ는 고체 추진기관을 사용해 민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하기에는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간츠펠트'다. 터렐의 빛으로 만들어진 공간 혹시 처음에 봤던 작품이 기억나나요?
완벽
하게 빛을 차단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공간 속에서 시작된 작품이요. 미세한 빛 하나 없는 공간에서 오직 촉각에만 의존한 채 벽을 잡고 따라 걸어 들어가다 보면 어느 순간 거대한 붉은 빛줄기가 보입니다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뒤집개 대신 삽을 들고 솥을 저으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비밀1. 트렌드유행과 영양의
완벽
한 조화 ‘고교급식왕’에서 학생들이 만든 새로운 메뉴는 백 대표를 포함해 영양교사, 급식업체 메뉴개발팀 등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다. 실제 학교에서도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급식 시스템에 따라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표현 방법이 일관돼 긴 기간을 분석하는 게 가능했던 것입니다. 수학적으로
완벽
한 태양의 흑점 주기 240년사실 태양이 240년 주기로 활동한다는 주장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유럽의 한 학자가 중국의 옛 문헌을 토대로 주장했지만, 신빙성이 없어 받아들여지지 않았지요. 양 연구팀은 연구 ... ...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학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완화할 수 있었습니다.물론 수학적 모형을 사용하는 것은 이론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완벽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기술로 완전하게 생태계를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생태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에 이러한 수학적인 힘이 보태진다면 조금이라도 더 지속 가능한 균형을 이루는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복잡한 도로 상황을 판단해서 스스로 운전하는 기술은 아주 어렵고 복잡해서 아직까지
완벽
한 자율주행차는 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최근 자율주행차의 성능을 지금보다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습니다. 1900년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파리 세계수학자대회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