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d라이브러리
"
위도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엄청난 에너지가 쌓입니다. 이 에너지가 강한 폭풍을 거느린 태풍이 되어 고
위도
의 추운 지역에 전해지면 지구가 받는 열이 골고루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또 태풍이 오면 많은 비가 내리는데 가뭄과 폭염, 적조현상을 해소해 주기도 해요.이처럼 이로운 면도 있지만, 태풍은 그 자체가 변화와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계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가진 수지 기능성고분자라고도 한다 지구상의 기압분포에서
위도
30도 부근을 중심으로 몇개의 독립된 단위로 분열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아열대 고압대(亞熱帶高壓帶) 화석두족류(化石頭足類) 중 고틀랜드기(紀)에서 고생대 말경까지 생존한 암모나이트류의 가장 오래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들어오면 림프라고 부른다 혈액처럼 온몸을 돌면서 영양소와 면역 항체를 운반한다중
위도
편서풍대에서 나타나는 풍속이 매우 빠른 강한 바람 대류권 상층이나 성층권에서 불며 길이가 수천km, 폭이 수백km, 높이가 수백m에 달한다 풍속의 변화가 심하고 많은 양의 열과 수증기를 이동시킨다음이 ... ...
바다를 알면 태풍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바다에서 탄생해 육지에서 소멸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중
위도
바다에서 생을 마감한다. 고
위도
로 갈수록 바다 온도는 낮아지고 해면 가까이에 수증기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태풍은 해면으로부터 에너지를 더이상 공급받지 못한다. 이에 태풍은 북위 40。 부근에서 급격히 소멸하게 된다.미국 MIT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박경애 연구교수는 “북태평양에서 해수면 온도가 28℃인 곳을 연결한 곡선이 매년 평균
위도
0.6°씩 올라오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의 계산에 따르면 북반구 해수면 온도는 1년에 평균 0.0220℃, 남반구는 0.0071℃씩 증가하고 있다. 대륙과 인구가 많은 북반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큰 것. 박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호수 등을 포함하는 영역이며 대기와 함께 적도 지방의 잉여 열에너지를 고
위도
지방으로 운반한다 또 많은 열에너지를 이 수권 안에 축적함으로써 외부 기후 변화 인자에 의한 기후 변화를 완만히 하거나 천천히 일어나게 한다육지의 빙하 해빙 또는 눈 덮인 지역 등 동토 지역의 영역이며, 높은 ... ...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부른다.칭동은 동쪽과 서쪽이 더 보이게 되는 경도칭동과 남쪽과 북쪽이 더 보이게 되는
위도
칭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두 칭동의 크기는 모두 약 6도 가량 된다. 칭동 때문에 우리는 달의 뒷면을 미약하게나마 조금 더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가 달에서 볼 수 있는 면은 50%가 아니고 59%나 된다.달의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수목이 생육할 수 없는 한계선이다 이 환경 조건 가운데에서도 높은 산이나 고
위도
지방에서는 저온, 습한 지역에서는 수분과잉, 사막에서는 수분부족 그리고 극지방에서는 강한 바람 등이 수목한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수목한계를 잘 보여주는 것이 북극권의 툰드라와 높은 산의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 때문에 이 세를 대빙하기라고도 한다 빙기에는 남·북반구의 고
위도
지방이나 저
위도
지방의 높은 산악지대에 많은 얼음층이 뒤덮혀 해수준면이 하강하였으며 간빙기에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 또 이 세에는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고, 지구상의 동식물계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도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축소되며 많은 구름이 발생한다 늦여름이 되면 극관은 거의 완전히 없어져 버리고 겨울이 되면 극지가 안개로 덮히게 된다 그리고 다시 봄이 되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