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환
교환
전향
전도
변경
전화
d라이브러리
"
전환
"(으)로 총 1,62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KAIST 바로 건너편에 위치한 대전과학고등학교는 1984년 과학고로 개교해 2014년 영재학교로
전환
됐다. 대전과학고는 다른 영재학교와 달리 지원자의 인성을 중요한 평가 요소로 본다. 인성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는 걸까. 전경수 대전과학고 입학부장에게 들어봤다. 남은 중학교 생활까지 입시에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세상을 놀라게 했다. 국내 메모리반도체 기술이 ‘국제적인 명품’으로 자리매김한
전환
점이 되던 때다. 2013년 퇴직할때까지 상변화메모리(P램) 등 무수히 많은 세계 최초의 신(新) 메모리 제품을 개발했다. 입사 당시 2만 원 대였던 삼성전자의 주식은 퇴직할 때 150만 원 정도로, 75배 이상 훌쩍 뛰며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복제기술과 오가노이드 기술을 접목하면 처음부터 인체 거부반응을 완전히 없앤 형질
전환
돼지를 만들 가능성도 있다. 처음부터 돼지 몸속에서 사람의 줄기세포를 키워 돼지의 간이나 폐, 심장 등 모든 장기를 사람과 똑같은 유전자를 갖도록 만드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동일한 두뇌를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발 빠른 금융권은 이미 단일 생체인증의 도입을 마무리 짓고,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으로
전환
을 꾀하고 있다. 금융보안원은 2017년 1월 발표한 ‘전자금융과 금융보안’ 보고서에서 “핀테크 활성화 및 편의성이 뛰어난 모바일 중심의 금융서비스로 규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바이오 인식 기술의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한국과학영재학교는 2003년 부산과학고에서 영재학교로
전환
한 뒤 2009년에는 KAIST 부설로
전환
됐다. 이공계 영재 육성이라는 설립 이념 아래 최근 4년간 졸업생 100%가 이공계열로 진학했다. 이공계 인재의 산실, 과학영재학교로 가는 길을 김동훈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에게 들어봤다. 입학 ... ...
세상을 이루는 물질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밀도가 높은 부분은 자체 중력에 의한 수축이 일어난다. 이때 위치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
되는 *중력수축 에너지가 발생하면서 중심부의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가 상승하면서 검붉은 기체 덩어리의 형태를 가진다. 이를 원시별이라 한다. 하지만 이는 아직 진정한 형태의 별이 아니다. *중력수축 ... ...
[공룡은 왜?] 휘두르기만 해도 티라노가 깜짝?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 곤봉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공룡들을 사냥했던 공룡이에요. 빠르게 달리다가도 빳빳한 꼬리를 움직여서 방향
전환
을 쉽고 민첩하게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답니다. # 공룡 꼬리 연구는 매우 흥미롭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사실이 많아요. 안킬로사우루스의 꼬리 곤봉 역할도 아직 확실하지 않지요. 앞으로 밝혀질 꼬리의 ... ...
[가상인터뷰] 참치 수영 실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수영하러 갔다가 날렵하게 움직이는 물고기를 발견했어! 빠른 속도와 민첩하게 방향을
전환
하는 모습이 마치 자동차 레이싱 선수 같았지! 이 물고기는 어떻게 빠른 속도로 다니면서 방향까지 자유자재로 바꾸는 걸까? 그 비밀을 함께 들어보자!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하세요! 저는 바다에 사는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꿈만은 아니다. 실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
하는 해마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뇌에서 신경 신호를 읽어 오거나 뇌에 자극을 가하기 위해서는 두개골을 절개해서 전극을 삽입해야 한다. 이를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부당함에 맞설 수 있는 방법은 이처럼 귀여운(?) 가설을 세우는 것뿐이었다. 필자는 형질
전환
초파리를 이용한 생체시계 연구를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4년 무렵에서야, 위와 똑같은 가설을 초파리 동물 모델을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해낸 연구 논문이 1971년에 이미 발표됐다는 사실을 알았다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