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휴지
스탑
스톱
중단
금지
부동
d라이브러리
"
정지
"(으)로 총 1,118건 검색되었습니다.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제로 난폭하게 운전을 하는 버스에 탄 기분이었어. 버스가 급하게 출발하거나
정지
할 때는 물론 ‘쾅~!’하고 사고가 날 때도 꽉 맨 안전벨트가 우리를 지켜 준다는 걸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단다.‘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답게 모든 재난을 안전하게 탈출하는 데 성공했어. 그런데 갑자기 궁금한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조금 더 구체적이 된 것은 1960년대였다. 러시아의 공학자 유리 아르추타노프는
정지
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은 1979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의 소설 ‘낙원의 샘’을 통해서다. 우주엘리베이터의 원리3만 6000km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말해요. 상황에 따라 전기 모터와 가솔린 엔진을 이용해 달릴 수 있고,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
할 때 마찰력을 이용해 전지를 충전할 수도 있지요. 그래서 연료 인 휘발유를 아끼면서도 오래 달릴 수 있어요.한국에서도 2009년 7월에 현대자동차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출시했어요. 최근에는 전자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향은 자기장의 방향이다.상대운동에 의한 전자기 유도현상과 같이 막대자석이
정지
한 코일 속을 출입할 때 검류계의 바늘이 움직인다. 전류는 자석이 운동하는 동안만 나타나며, 운동이 없을 때는 전류가 나타나지 않는다. 자석을 고정하고 코일을 운동시켜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 즉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빠지면 세포의 대사 과정이 저하되고 몸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 하나씩
정지
하게 된다. 한 가지 더. 추위를 피하기 위해 술을 먹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은 몸이 떨리는 것을 막고 피부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일시적으로 저체온증 증상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결국 체온조절을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주 등장하는 밸런스는 운동역학적으로 무엇을 의미할까. 야구의 밸런스는 체조의 ‘
정지
기술’ 동작과 달리 연속동작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뛰어난 선수를 순간순간 사진 찍어보면 균형이 무너진 것처럼 보여도 연속동작으로 보면 균형이 맞아 있다. 투수는 준비 자세부터 공을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군사통신,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3~30MHz 파장 대역(HF)이 취약하다. 항공기는 보통 지구
정지
궤도 위성을 이용해 공항과 통신한다. 하지만 남극이나 북극을 가로질러 비행할 때는 HF 파장을 사용한다. 위성은 북위 82˚ 이상에서는 신호가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폭풍이 일 때는 극항로 노선을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힘이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다. 또 머신은
정지
상태에서 시속 160km까지 간 뒤 다시
정지
상태로 돌아오는 데 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드라이버가 이 폭발적인 스피드를 직선코스와 곡선코스에서 어떻게 조절하지를 눈여겨 살피면 훨씬 더 재밌는 관람이 될 것이다. 초고속에서의 안전성, 차체를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진과 달리 움직이는 물체를
정지
된 모습으로 볼 수 없는 거야.에이~, 여기 있는 사진은
정지
된 모습이 아닌데요?…그건 사진을 일부러 느리게 찍어서 그런 거야.순간포착! 표정에도 이유가 있다?근데 뭘 보고 그렇게 웃어? 재밌는 광경이라도 봤니?놀이기구를 타는 사람들의 표정이 재미있어서요.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이 머무는 시료의 표면 근처에 나노 크기의 예리한 바늘을 가까이 가져가면
정지
해 있던 빛이 앞으로 진행하는 빛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28년 E.H.싱이 이런 사실을 이론으로 정립했고, 1982년에는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가 소멸파를 이용한 광학기기를 만들어 실험으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