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휴지
스탑
스톱
중단
금지
부동
d라이브러리
"
정지
"(으)로 총 1,118건 검색되었습니다.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큰 새는 대부분 날개짓을 하기 전에 두 발로 달린 후 뛰어오른다”며 “몸집이 작은 새만
정지
상태에서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익룡은 화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거의 한 세기 동안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익룡에 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 ...
흔들흔들, 쾅쾅~ 위험한 세상을 탈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제로 난폭하게 운전을 하는 버스에 탄 기분이었어. 버스가 급하게 출발하거나
정지
할 때는 물론 ‘쾅~!’하고 사고가 날 때도 꽉 맨 안전벨트가 우리를 지켜 준다는 걸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었단다.‘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답게 모든 재난을 안전하게 탈출하는 데 성공했어. 그런데 갑자기 궁금한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빠지면 세포의 대사 과정이 저하되고 몸 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 하나씩
정지
하게 된다. 한 가지 더. 추위를 피하기 위해 술을 먹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알코올은 몸이 떨리는 것을 막고 피부의 혈관을 확장시킨다. 일시적으로 저체온증 증상이 사라지는 것 같지만 결국 체온조절을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향은 자기장의 방향이다.상대운동에 의한 전자기 유도현상과 같이 막대자석이
정지
한 코일 속을 출입할 때 검류계의 바늘이 움직인다. 전류는 자석이 운동하는 동안만 나타나며, 운동이 없을 때는 전류가 나타나지 않는다. 자석을 고정하고 코일을 운동시켜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 즉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말해요. 상황에 따라 전기 모터와 가솔린 엔진을 이용해 달릴 수 있고, 브레이크를 밟아
정지
할 때 마찰력을 이용해 전지를 충전할 수도 있지요. 그래서 연료 인 휘발유를 아끼면서도 오래 달릴 수 있어요.한국에서도 2009년 7월에 현대자동차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출시했어요. 최근에는 전자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자주 등장하는 밸런스는 운동역학적으로 무엇을 의미할까. 야구의 밸런스는 체조의 ‘
정지
기술’ 동작과 달리 연속동작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뛰어난 선수를 순간순간 사진 찍어보면 균형이 무너진 것처럼 보여도 연속동작으로 보면 균형이 맞아 있다. 투수는 준비 자세부터 공을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군사통신, 항공기에서 사용하는 3~30MHz 파장 대역(HF)이 취약하다. 항공기는 보통 지구
정지
궤도 위성을 이용해 공항과 통신한다. 하지만 남극이나 북극을 가로질러 비행할 때는 HF 파장을 사용한다. 위성은 북위 82˚ 이상에서는 신호가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양폭풍이 일 때는 극항로 노선을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힘이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다. 또 머신은
정지
상태에서 시속 160km까지 간 뒤 다시
정지
상태로 돌아오는 데 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드라이버가 이 폭발적인 스피드를 직선코스와 곡선코스에서 어떻게 조절하지를 눈여겨 살피면 훨씬 더 재밌는 관람이 될 것이다. 초고속에서의 안전성, 차체를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대해 회전이 없는 물체라도 모두 지구 자전에 의한 행성 와도는 갖고 있다. 북극에서는
정지
해 있는 물체가 지구 자전에 의해 지표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자전 각속도의 빠르기로 회전하므로 행성 와도의 크기는 최대다. 반면 적도에서는 지구 자전에 의해 지표면에 수직인 축에 대한 지표면 회전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빛이 머무는 시료의 표면 근처에 나노 크기의 예리한 바늘을 가까이 가져가면
정지
해 있던 빛이 앞으로 진행하는 빛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28년 E.H.싱이 이런 사실을 이론으로 정립했고, 1982년에는 스위스의 물리학자 디에테르 폴 박사가 소멸파를 이용한 광학기기를 만들어 실험으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