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론이다. 미국의 종합 반도체 기업인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가 1965년에 주장했다. 무어는 당시 약 10년 정도의 집적도 추세를 예측하며 이같이 말했지만, 반도체 집적 기술이 꾸준히 발전하면서 50년 넘게 법칙처럼 자리매김했다.반도체의 집적도는 기업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다.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때도 국내의 지형학자들은 산지하천이 많기 때문에 운하 건설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2008년 열린 ‘한반도 대운하와 지형환경’ 심포지엄에서 지형학을 연구하는 오경섭 한국교원대 명예교수는 “대운하 사업을 하려면 모래 준설뿐만 아니라 단단한 하상 기반암을 5~6m 이상 파괴하면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오로라 발생 과정 밝히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오로라를 만들어내기에 충분했습니다. 이런 현상은 1946년 러시아 과학자 레프 란다우가 주장한 ‘란다우 감쇠’ 이론과도 일치했습니다. 쉬뢰데르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목성과 토성 등 오로라를 볼 수 있는 다른 행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습니다. 이 연구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채로 벽 밖에 있는 시험관과 대화합니다. 사람(A)과 컴퓨터(B)는 모두 자신이 사람이라고 주장하죠. 시험관은 둘 중 누가 사람인지 판단하는데, 이때 사람과 컴퓨터를 구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인간 수준의 사고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이라고 판단합니다. 2014년 앨런 튜링의 사망 60주년을 기리기 ...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수주기로 진화한 매미들이 자손들을 많이 남기고 살아남았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주기가 12년과 15년인 매미가 있다면, 60년 후에 두 종이 만나 교잡과 경쟁이 이뤄진다. 반면 13년과 17년 주기매미는 221년 후에야 동시에 등장할 수 있다. doi: 10.1086/285981그러나 모든 ... ...
-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대표적인 학자다. 새로운 소재로 지금보다 뛰어난 성능의 배터리를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그를 6월 4일 디스커버리(DISCOVERY) 연구실에서 만났다. 리튬의 화학적 한계 뛰어넘어1990년대 초반 처음으로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는 30년 이상 배터리계의 ‘왕좌’를 차지하며 널리 쓰이고 있다. ... ...
- 약자 피해 우려에 지구공학 실험 멈췄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막을 수 없다고 우려하며 지구공학이 직접적이고 강력한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스코펙스 자문위원회는 사회적 논의를 거쳐 실험 진행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듣고 기술적, 윤리적,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겠다는 의사다. 스코펙스 중단 사태는 ...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알루미늄 조각을 극저온에서 냉각한 뒤 발생한 결과로, 오롯이 양자얽힘에 의한 것이라 주장했다. doi: 10.1126/science.abf2998핀란드 알토대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공동연구팀은 양자얽힘이 일어나는 두 알루미늄 조각을 이용한 실험으로 불확정성 원리를 피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같은 날 ...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있다는 사실 자체가 전통적인 과학 논문 저작권 구조에 문제가 있음을 증명한다”라고 주장했다.그는 “과학과 지식의 공유를 막는 어떤 법도 있을 수 없다”며 “이것이 사이허브를 만든 이유”라고 강조했다. 과학 지식은 공유를 통해 발전한다. 세계과학자연맹이 1948년 제정해 공포한 ‘과학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시냅스, 맨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불리는 신경세포가 몸 전체에 하나로 연결된 게 아니라, 떨어진 채 서로 소통한다고 주장했지요. ‘시냅스’라는 단어는 영국 생리의학자 찰스 셰링턴이 카할의 생각을 받아들이면서 만들었어요. 1897년 생리학 교과서를 번역하던 셰링턴은 분리된 신경세포 사이의 결합 상태를 강조할 단어를 찾고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