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합
통합
단일
일관성
균일성
협조
공유
d라이브러리
"
통일
"(으)로 총 70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가진다」는 것이다 저서 《이론생물학》(1932, 42)에서 생물학의 전분야를 이런 견지에서
통일
적으로 파악했다 정비례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화합물 부정비화합물 · 비화학량론적 화합물(非化學量論的化合物)이라고도 한다 화합물은 대부분 정비례의 법칙에 따라 구성원소의 원자비가 간단한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多樣體) 등 여러 가지 수학적인 대상에 대해 집합과 관계가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일
적으로 정식화(定式化)한 것이다 수학에서 어떤 명제가 모든 자연수에 대해 성립한다는 것을 해명하는 증명법 완전귀납법이라고도 한다논리학에서는 구체적인 각 사실에서 일반적인 법칙을 유도하는 것을 ... ...
바이오 인포매틱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생명정보학 또는 생물정보(공)학이라고도 불리는데 아직 이름도 제대로
통일
되지 않았을 만큼 따끈따끈한 생명공학분야다.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말 자체는 생명과학(bio-)과 정보과학(informatics)의 결합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전문가들은 1990년대 초에도 사용됐다고 말한다. 어원부터 요즘 ... ...
재앙과 자원의 태양계 야누스 소행성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지금은 발견자의 의견에 따라 다양한 이름이 부여되고 있는데, 이들 중에는 세종, 관륵,
통일
, 보현산 등 우리 이름을 가진 것도 있다. 1.5km짜리 위성도 갖고 있어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소행성의 경우 외행성 탐사선이 지나가는 과정에 덤으로 가장 먼저 근접탐사가 이뤄졌다. 최초의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거푸집은 60~70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도 20% 정도 단축시킬 수 있다그리고 규격이
통일
된 주택을 만드는 데는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오차도 거의 없기 때문에 주택의 양산화에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한 반합성의 남성호르몬 무취이고 백색 및 미황색의 ... ...
2002 물리학상 - 중성미자 검출, X선 천문 관측의 창 개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핵력, 약력, 전자기력을
통일
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대
통일
장 이론이 나왔다. 이 대
통일
장 이론의 주된 예측 중 하나가 바로 양성자 붕괴다. 이를 실험으로 검증하기 위해 고시바 박사는 새로운 검출기를 1982년 제작하기 시작해 1년만에 완성했다. 가미오까 산 속 3천t의 증류수 탱크이 검출기는 일본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고고학적인 의미는 크다. 천마총이 만들어진 연대를 5-6세기로 추정하고 있으니 삼국
통일
이전이고 자작나무가 자라던 곳은 고구려의 땅인 북한의 추운 지방이다. 반면에 거제수나무나 사스레나무는 남한의 태백산 줄기로 이어진 산에서는 지금도 흔히 만날 수 있다.만약에 천마도를 그린 ... ...
과학 입고 싸운다 군복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군복을 입었다. 국가 개념이 지금처럼 분명하지 않던 시대에조차 한 집단의 상징으로
통일
된 제복은 언제나 존재했다.사실 수천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군복은 기능성보다는 집단의 사기를 북돋워주거나 소속을 분명히 해주는 역할이 더 컸다. 이런 경향은 중세 이후 근세로 들어와 총과 대포가 ... ...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만들고 m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전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SCR와
통일
한 특성을 가지게 한 반도체소자질산암모늄 고체에 마른 암모니아 가스를 보내 염이 암모니아를 흡수하고 점차 액체화하여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다이버스용액이라고 한다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위해 설정된 관측점의 조직 각 관측점에서는 기상관측의 방법이나 정도(精度)가
통일
되어 있어야 하며 고기압이나 저기압처럼 대규모의 기상현상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관측점 사이의 거리는 100km 내외에서 300~400km의 간격이 있어도 되지만 뇌우(雷雨)처럼 소규모의 것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관측점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