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양"(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홈볼트오징어, 빛으로 대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다른 오징어들과 이야기해. 지난 3월 23일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연구팀과 미국 몬테리만해양연구소 연구팀은 원격 제어 수중로봇(ROV)으로 몬테리만 바닷속 수심 500m에서 30마리의 훔볼트오징어를 촬영했어. 연구팀은 영상을 보며 훔볼트오징어들이 혼자 있을 때, 작은 무리일 때, 큰 무리일 때, 또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0p)☞바로가기2020년 1~6월 전 지구 평균 기온은 관측 이래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매달 발표하는 ‘글로벌 기후 보고서’ 2020년 6월호에 담긴 내용입니다. 참고로 NOAA가 기상 관측을 한 141년간 전 지구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해는 2016년, 두 번째는 2019년이었습니다. 올해 ... ...
- 군집 위성, 지구의 안팎을 모두 살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도시 환경을 관리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죠.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의 박재필 대표는 “해양 선박 탐지, 해안선 변화 탐지, 경작지의 수확량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상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어과동 독자들이 어떤 활동을 할 수 있을까요?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현재 우리나라에는 해양포유류를 보호할 수 있는 법이 없어요. 이런 법을 제정해 달라고 국회의원들에게 편지를 쓸 수도 있겠지요. 혹은 고래를 보호하는 환경 단체의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홍보하거나 후원을 할 수도 있어요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뤄지고 있어서 기름 유출로 인한 해양 오염 가능성이 커졌거든. 나는 바닷속을 감시해 해양 오염을 막을 계획이야. 그래서 지금은 미국 보그 호수에서 미리 훈련받고 있어. 빙하로 덮인 북극 바다에서 잘 작동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호수의 얼음덩어리 밑에서 실험하는 거지. 이 훈련이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동하는 바이러스는 매우 많다. 2018년 커티스 셔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지구해양대기과학부 교수팀은 해발 약 3000m 상공에서 대기 샘플을 수집했다. 그리고 그 안의 바이러스와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1m² 면적에 하루 동안 수십억 개의 바이러스가 내려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 ...
- 수족관 탈출! 바다로 풍덩!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Part4.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 ★ 도움장수진(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MARC) 대표),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천명선(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인문사회학 교수), Andy Bool(SEA LIFE Trust 대표), SEA LIFE TRUST Beluga Whale Sanctuary, Th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하이의 ‘창펭 오션 월드’라는 수족관에 팔렸지. 그러다 이듬해 수족관을 산 기업이 해양 동물 보호단체와 함께 아이슬란드에 고래 쉼터를 만들기로 하면서 이곳으로 오게 되었단다. Q 고래 쉼터가 어떤 곳인지 알려줘!정식 명칭은 ‘벨루가 고래 쉼터’로, 북대서양 섬나라 아이슬란드의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 결과가 ‘네이처’ 4월 22일자에 실렸다. 팰크 아멜룽 미국 마이애미대학교 해양지질학과 교수팀은 지난 200년 동안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많은 비가 화산 폭발을 촉진시킨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그간 빗물이 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지 못했다. 연구팀은 흙의 빈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인당 미세플라스틱을 연간 2000개 먹고 있다니… (76p)☞바로가기2018년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는 전 세계 16개국에서 생산되는 소금 39종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했습니다. 소금 섭취량으로 환산해보니 1인당 연간 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을 2000개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