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못
못
Lake
호
후미
문수
치수
d라이브러리
"
호수
"(으)로 총 820건 검색되었습니다.
뚝딱뚝딱! 중생대 화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등 모두 물가에 사는 동물과 곤충의 화석이 발견되었답니다. 중생대에 이 곳이
호수
였다는 걸 말해 주지요.이렇게 화석을 보면 과거의 생태나 환경 등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답니다.정말 놀라워요~! 선생님께서는 이렇게 신기한 화석에 언제부터 관심을 갖게 되셨나요?대학교 4학년 때 포항에 답사를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프리스쿠 교수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위성이다. 그는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는 보스톡
호수
와 구조가 같다”며 “암석 위에 바다가 있고 그 위에 빙하가 있다”고 말했다.실제 이번 발견으로 미국 항공우주국은 유로파 탐사를 미션 우선순위 2위로 올렸다. 그는 “화성탐사가 끝나는 대로 바로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제대로 찾아온 건가요?하하~, 잘 찾아왔어요. 이 곳은 중앙내수면연구소로, 전국 하천과
호수
등에 있는 생물들의 수를 늘리고, 우리나라 생물자원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연구하는 곳이에요. 민물고기를 주로 연구하죠. 1999년에는 천연기념물 제190호인 황쏘가리의 생태계 복원에도 성공했답니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레만
호수
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답니다.”권 교수는 이어 “높은 산에서 봐야
호수
의 모습을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것처럼 생명현상을 공부할 때도 구성 물질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과 동시에 이들 구성물질이 아우러져 있는 전체를 보는 눈도 가져야 한다”고 했다.한 가지 물질로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다행히 이런 이동에서 잘 알려진 양이 한 가지 있습니다. 각각의 사람이 있는 좌표(방
호수
)의 제곱의 합Q가 그것입니다(네제곱의 합 등을 대신 써도 됨).k²+(k+1)² ...
PART 1. 산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근처나 위는 사면이 불안정해 절개지 붕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산 위에 조성한 인공
호수
는 사면의 수분량을 늘려 산사태가 나기 좋은 상태로 만든다. 식생 역시 변수다. 유철상 교수는 “나무나 풀 등 식생이 발달하면 작은 산사태는 막지만 큰 산사태는 늘어난다”고 말했다. 사면 가운데에는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한무영 교수는 “조선시대 경복궁 경회루에
호수
를 만든 것은 빗물을 잡아두어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생각에서 비가 내린 지역에 빗물을 잠시 잡아두는 ‘분산식 빗물관리’가 주목받고 있다. 분산식 빗물관리는 다양한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전경. 연료용이 아니라 건강식품용으로 남조류인 스피룰리나를 키우고 있다.]“예전에는
호수
에 생긴 녹조(미세조류 덩어리)를 어떻게 없애는가 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어떻게 하면 녹조가 생길 정도로 미세조류를 잘 자라게 할 수 있을까 하는 연구를 하고 있죠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동과 번지나 리 대신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쓴다. 그 뒤자세한 주소는 쉼표(,)를 찍고 동과
호수
등을 쓴다. 새 주소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이름을 쓰지 않는다. 아파트 이름이 지나치게 길거나 아파트 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새 주소가 자리 잡을 때까지는 주소 맨 뒤에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래서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지하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하수는 강이나
호수
와 달리 기후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수량 변화가 작고 천천히 일어난다. 하지만 지하수도 자연스럽게 또는 개발로 인해 고갈될 수 있다. 지하수 고갈을 막기 위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하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