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자극"(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꾸는 로봇들의 축제, 로보월드 2008!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반응하는 로봇이에요. 빛이 비치는 곳을 향해 바퀴를 움직여 미로를 통과하지요. 어때요, 말을 잘 듣지요? 우리는 로봇이 빛 등 외부 자극에 따라어떻게 움직이는지 연구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어요. 말이나 신호만으로 움직이는 로봇도 다 우리와 같은 반응 로봇 덕분에 태어났답니다. 보이지 않는 로봇! 이봐요, 성준 명예기자! 조종은 안 하고 어딜 보는 ...
- 소금 법정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관여하는 물질이 바로 소금에 들어 있는 나트륨! 그러므로 만약 소금을 먹지 못한다면 나트륨이 세포막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신경자극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거나 근육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소금은 각종 영양소의 흡수를 도와 줍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위에서 나오는 위액 덕분에 소화가 되고 몸 속 골고루 흡수됩니다. ...
- 스트레스 NO! 즐겁게 등교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보내 자율신경계를 활성화한다. 시상하부의 활동 : 흥분한 편도체는 여러 가지 호르몬을 조절하는 시상하부를 자극한다. 자극을 받은 시상하부는 뇌하수체에 신호를 보낸다. 시상하부 등에서 분비되는 노르에피네프린 호르몬은 뇌가 깨어 있게 한다. 뇌하수체의 명령 : 신호를 받은 뇌하수체는 콩팥 위쪽에 있는 부신에 명령을 한다. 부신의 호르몬 ...
- 에이~,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팽팽해졌다가 물이 나가면 가지가 축 늘어지겠네요?” “그렇죠! 그래서 마치 가지가 춤을 추는 것처럼 움직이는 거죠. 미모사가 자극을 받고 잎사귀를 아래로 늘어뜨리는 것과 달리 무초는 잎사귀를 상하로 빠르게 움직여요. 그래서 마치 손을 흔들며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이죠.” “그런데 어떻게 소리가 물의 움직임을 조절하죠?” “무초는 흔히 소리에 반응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이 전부 뇌의 각 부분에 자극을 주는 거라구! 즉 공부를 잘 하는 똑똑한 뇌를 만들기 위해서는 뇌를 고르게 자극해 뇌를 골고루 발달시키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자, 가장 확실한 비법이야. 그래야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건강하고 똑똑한 뇌가 될 테니까! 새 학년, 새 학기를 맞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이제 공 ...
- 겨울방학 심심타파! 하나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여기에 있는 나비만 해도 100여종, 2만 마리!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지? 아쉽게도 살아 있는 나비가 아닌 표본이지만 우리의 흥미를 자극하기엔 충분했지. 처음에는 살아 있는 나비를 전시했었는데, 사람들도 많고 실내여서 나비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 죽었대. 하지만 앞으로 살아 있는 나비를 전시할 예정이래. 나비의 날개를 자세히 관찰하다 비늘이 ...
- 내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1)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1
- 모양이 다르대. 피부 속의 혈관이라 복제가 거의 불가능하지. {BIMG_l10}망막 망막은 눈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얇고 투명한 막으로, 빛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시신경이 있는 곳이야. 이 곳엔 모세혈관이 다양한 모양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그 모양이 사람마다 달라. 망막의 혈관도 지문이나 홍채처럼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단다. {BI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색상환에서 마주 보는 색을 짝지어 보색이라 불러. 노랑과 파랑, 빨강과 초록이 대표적인 보색이야. 보색을 함께 칠하면 시각적 자극이 크고 긴장감을 불러서 색채충돌이란 말이 나왔지. 촌스러운 느낌마저 들 걸? 하지만 보색을 잘 사용하면 선명하고 맑은 느낌을 줄 수 있어. 이건 색깔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세포가 보색을 함께 처리해서 그래. 노란색에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비롯해 터치센서, 거리센서, 온도센서 등 20개가 넘는 센서가 몸 전체에 있어 사람들이 때리는지, 쓰다듬는지 인식할 수 있다. 자극에 따라 놀라거나 좋아하는 등 적절한 반응을 한다. 현재 코비를 개발한 연구팀에서는 여러 가지 센서를 통해 사람이 누워 있는지 책을 보는지 등을 알아차리는 ‘휴먼행동인식기술’을 개발하는 중이다. [소제시작]크리스마스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기억하도록 해. 기억 단위가 커져 쉽게 외울 수 있단다. 3. 보고 듣고 만지는 등 여러 가지 감각을 자극하며 기억하면 뇌의 여러 부분을 자극하며 저장되기 때문에 더 쉽게 기억할 수 있어. 4. 아는 것이 많으면 기억도 잘 돼. 뇌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이미 뇌 속에 저장되어 있는 기억과 연결해 저장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책을 ...
이전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