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뉴스
"
동쪽
"(으)로 총 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태평양 심(深)해저 화산에 한국 이름 새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한국 연구기관 이름으로 명명됐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키오스트)은 최근 괌
동쪽
의 공해역 해저 6000m 지점에 있는 심해 화산(해산)의 존재를 처음으로 입증해 이 해산을 ‘키오스트 해산’으로 공식 명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해산은 지난해 2월 박요섭 해양과기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 ...
백악기 초 호주-남극 사이 계곡에 칠면조 크기 공룡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11
레드 웨스트’ (Eric the Red West) 지역이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이 지역은 원래 남극대륙의
동쪽
부분과 이어져 있던 곳이다. 이후 대륙이 서로 분리돼 멀어지면서 크고 깊은 골짜기가 생겼다. 백악기에 호주와 남극 대륙은 지금보다 가까이 있었다. Eric the Red West를 비롯한 주변 지역은 공룡 화석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깎은 부분은 밝은 색으로 처리했다. 연구자들은 암각화의 그려진 개의 모습이 지중해
동쪽
레반트 지역의 토종개인 케이넌 도그(Canaan dog)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림 위의 사진 두 장이 케이넌 도그로 아래 암각화에 등장한 개와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케이넌 도그는 몸무게가 16~25kg인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특징이 비슷한 데에서 착안해 나온 가설로, 남태평양 섬 거주자들이 카누 등 배를 타고
동쪽
으로 이동해 남미 해변을 통해 미국 대륙에 정착했다는 내용이다. 포터 교수는 “남태평양 이주 가설은 유전학 및 고고학적으로 모두 근거가 없다는 게 현재의 결론”이라고 밝혔다. 1만1500년 전 어린이 ... ...
수도권 큰 눈 어디서 왔을까? 서해 수증기가 근원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상대적으로 경상남도 지역은 일년 중 눈 보는 날이 하루가 채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동쪽
에서 간혹 불어오는 눈 구름은 태백산맥에, 서쪽에서 불어오는 눈 구름은 지리산에 막히기 때문이다. ●화이트 크리스마스 기대해도 될까 앞으로 며칠 동안은 겨울에 대륙 고기압이 확장하는 과정에서 ... ...
“추위를 이기세요” 빙산 사이로 수영하는 남자
팝뉴스
l
2017.12.16
버커드가 최근 자신의 인스타그램 페이지에 공개한 것이다. 촬영 장소는 그린란드
동쪽
에 있는 피요르드 세르밀리크. 크리스 버커드는 견딜 수 없이 물이 차가왔다고 한다. 몸을 타고 흐르는 느낌은 전기 충격 같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점점 자연과 하나 되는 느낌 그리고 성취감이 밀려오면서 ... ...
인도네시아, 아궁 화산 분출로 경보 단계 최상급으로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7
지진에 따른 거대 지진해일이 발생해 23만 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아궁 화산은 발리 섬
동쪽
에 있는 활화산으로 높이 3142m에 달한다. 가장 최근 분출은 1963년에 있었는데, 당시 사상자가 2000여 명 발생했다. 당시 발생한 화산재는 1000㎞ 떨어진 자카르타까지 영향을 미쳤다. 2002년 이탈리아 에트나 ... ...
위성 통신장애 일으키는 ‘블랙오로라’ 전기장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의한 현상임이 드러났다. 적도 부근 고도 약 100㎞ 상공의 지구이온층에서 정오 무렵
동쪽
으로 발생하는 전류 현상인 ‘적도고층전류’의 전기장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 플라즈마 물리학의 기본원리로 알려진 ‘준중성 이론*’이 플라즈마 경계 영역에서는 ... ...
포항, 중저주파 지진 때문에 피해 더 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장은 “포항 지진은 진원지 서쪽 지반이
동쪽
지반을 타고 올라가는 패턴으로 작용했다”며 “여진이 일어나는 위치까지 분석해보면 북북동 방향으로 단층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제공 현재까지 여진은 경주 지진보다 ... ...
(상보) 포항에 역대 두 번째 강한 지진… 경주지진보다 진원 얕아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원인은 동서 압축력에 따른 역단층으로, 폭이 수 km에 달하는 파쇄대인 양산단층대의
동쪽
지반이 서쪽지반 위로 올라타는 방향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뉴시스 제공 본진이 지나간 뒤 오후 2시 32분경에는 포항 북구 북쪽 7km 지역에서 3.6 규모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후 2시간 여 뒤인 오후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