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략
지략
음모
모방
모해
모함
복사
뉴스
"
모사
"(으)로 총 543건 검색되었습니다.
통발, 도마뱀 흉내내 물 제어하는 소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사막 도마뱀의 피부와 벌레잡이통풀의 표면 구조를
모사
해 물을 운반시키는 소재인 '다이오드 물 수송 표면'의 물 운반 거리를 기존 소재의 5배로 높였다. 레이저 공법으로 만들어 제작 비용도 기존의 약 100분의 1 정도다. 이진기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 ...
3D프린팅으로 만든 인공 폐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사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것으로 전망한다. 정 교수는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해 10μm 수준의 얇은 폐포 장벽을
모사
한 건 처음”이라며 “이번에 만든 인공 폐는 대량 배양이 가능해 코로나19를 포함해 감염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응할 치료 약물과 백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데 초기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 ...
포항공대 3차원 프린팅으로 실험용 인공 폐 개발
연합뉴스
l
2021.03.22
조직을 제작하고 있지만, 약 1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3층 구조를 가진 폐포 장벽을
모사
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에 만든 인공 조직은 대량생산·품질 관리가 가능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비롯한 전염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응할 수 있는 치료 약물 및 백신 유효성 평가용 ... ...
포항공대-울산대 연구팀 손보다 감각 우수 전자피부 개발
연합뉴스
l
2021.02.23
수 있을 뿐 물체 종류를 구별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사람 피부 지문을 구조적으로
모사
해 표면에 미세 주름을 지닌 얇은 고분자 탄성체 박막을 만들고 그 속에 은나노와이어와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분산시켜 높은 신축성을 지닌 다감각 인공 전자 피부를 만들었다. 개발된 센서 소자는 ... ...
질병 냄새 맡는 개보다 후각 200배 뛰어난 전자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있다. 다만 이런 질병탐지견들은 훈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과학자들은 개의 코를
모사
한 인공 질병탐지 장치 개발에 공을 들여왔다. 안드레아스 멀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비트앤아톰센터장팀은 개의 코보다 약 200배 더 민감한 질병 냄새 감지 장치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플로즈원 1 ... ...
[랩큐멘터리] 멍게 먹지 말고,지구에 양보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통해 지구환경 보존에 관심 있는 학생을 기다리고 있다. ▼ 포스텍 친환경생체
모사
재료 연구실 보러 가기 https://youtu.be/JUZQN-FlDbM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 ...
사람 귀 닮은 음성인식 센서 세계 최초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증폭시키는 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달팽이관 속 기저막을
모사
해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람의 귀가 작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이유는 달팽이관에 있는 사다리꼴 기저막이 ‘공진 현상’을 일으켜 소리를 증폭하기 때문이다. 공진 ... ...
올 10월 발사 ‘누리호’ 300t급 1단 엔진 첫 연소시험..."30초간 정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1.01.28
구성된 2단 엔진과 7t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3단 엔진이 장착되는 누리호는 올 10월 위성
모사
체를 싣고 1차 발사될 예정이며 내년 5월 무게 200kg의 성능 검증위성을 싣고 2차 발사될 예정이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1단 엔진 인증모델(QM)이 28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첫 종합연소시험을 ... ...
UNIST, 인공신경망 학습능력 향상 신기술 개발…불안정성 역이용
연합뉴스
l
2021.01.19
인공신경망은 인공지능의 한 종류로,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된 인간의 뇌신경망을
모사
해 반도체 칩으로 구현한 기술이다. 인공신경망 칩을 쓰면 인간 뇌처럼 에너지는 적게 쓰면서 연산과 기억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수많은 소자가 집적돼 오차가 존재한다는 단점이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모방한 초소형 비행체들이 종횡무진 날아다니고 있다. 곤충의 높은 양력 발생 능력을
모사
한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공학 및 응용과학과 연구팀이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로봇벌 ‘로보비(RoboBee)’가 대표적인 예다. 날개를 전부 펼쳤을 때 가로 길이가 3.5cm, 전체 무게는 0.26g인 이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