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선전화
무전
무선마우스
무선공유기
wireless
와이어리스
뉴스
"
무선
"(으)로 총 1,018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GIST 연구팀은 피부 아래 삽입된 상태에서 전력 생산이 가능한 근적외선 기반
무선
전력 발생 기기를 고안했다. 먼저 소형 태양전지 소자를 배열해 유연성을 높인 전원부를 피부 아래 조직에 이식하고 피부 침투 효율이 가장 높은 근적외선을 이용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 ...
삼성, NTT도코모에 5G 장비공급…한미일 1위 고객사 확보(종합)
연합뉴스
l
2021.03.23
일본 진출 19년 만인 2021년 장비를 직접 공급하는 계약을 맺게 됐다. NTT 도코모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 개발부(Radio Access Network Development Department) 아베타 사다유키 부장은 "이동통신 분야 선도 사업자로서 NTT 도코모는 고객들에게 더 혁신적이고 흥미진진한 경험을 제공하고 사회의 현안을 해결하는 ... ...
지하철에서도 5G로 AR 끊김 없이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말했다. 김명준 ETRI 원장은 “이번 시연을 통해 지하철 등 상용 대중교통망에서 고속
무선
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본 기술을 발판으로 향후 국내 기업들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기가급 이동 백홀 ... ...
표준硏-국보硏, 20km 구간에서 국내 첫 양자직접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2017년 50m 거리에서
무선
으로 양자 암호키를 전송하는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처음 성공한 뒤 현재 KT와 공동으로 상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은 올해 1월 중국과학기술대 연구진이 베이징에서 상하이에 이르는 2000km 구간에서 유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했다 ... ...
[랩큐멘터리]'알아서 척척' 이상징후 찾아내는 스마트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제품 설계의 문제를 찾아내고 이상 징후가 보이는 설비도 잡아낸다. 모든 설비와 장치가
무선
통신으로 연결돼 실시간으로 전 공정을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현대중공업 등 제조기업에서 스마트팩토리를 주목하고 있다. 김덕영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 ...
초미세먼지에 길 잃는 꿀벌들…꽃 찾는 비행시간 1.7배로 늘어
연합뉴스
l
2021.02.03
이 연구는 중국 베이징식물원에서 2017년 4월 27일부터 5월 7일까지 꿀벌 400마리에
무선
주파수 식별 장치(RFID)를 달아 고농도 초미세먼지 발생 전후 비행시간을 비교한 결과다. 논문 주저자인 조유리 서울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미세먼지로 인한 화분 매개자 활동에 관한 연구는 세계 최초"라고 ... ...
돼지 이어 원숭이 뇌에 칩 심은 일론 머스크, 생각으로 게임하는 원숭이 곧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라식 수술만큼 간단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 뇌에
무선
칩을 심겠다는 머스크 계획은 여전히 차질을 빚고 있다. 머스크는 2019년 7월 기자회견에서 동물 실험 이후 2020년쯤 인체 임상 시험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이후 아직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는 ... ...
스마트폰처럼
무선
충전 가능한 뇌 이식 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활용할 계획이다. 연구를 이끈 정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장치는 이식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이 가능해 배터리 교체를 위한 추가 수술이 필요 없다"며 "뇌 이식용 기기뿐 아니라 인공 심박동기, 위 자극기 등 다양한 생체 이식용 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GIST 양자중첩 적용한 절대보안
무선
통신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신호 왜곡을 스스로 보정할 수 있어 라이다(빛을 이용하는 레이다) 센서 같은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인터넷판 1월 21일자에 실렸다. ■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전기전도성이 약 140배인 향상된 ... ...
인공지능 활용해
무선
충전 시스템 성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0
없던 기보대로 바둑을 두듯 전혀 새로운 코어 모양이 나왔고 성능도 높았다"며 "향후
무선
충전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충전 효율을 높이고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학술지인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