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뉴스
"
안쪽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주입한 두 회수해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한편 폐포대식세포(alveolar macrophage)는 폐포
안쪽
면에 상주하며 노폐물을 처리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잡아먹는 면역세포다. 비교군과 담배군의 폐포대식세포와는 달리 용매군과 니코틴군의 폐포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지질 덩어리가 가득 차 있었다. ... ...
뇌성마비 환자 보행재활 돕는 로봇 재활법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특히 뇌성마비 환자는 경직이 발목이나 무릎에 나타나며 관절이 뻣뻣해지며 발이
안쪽
으로 돌아가며 걷는 안짱걸음을 걷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안짱걸음을 개선하는 보행훈련만 진행할 경우 관절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아 재활에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뻣뻣한 관절을 풀어주면 보행훈련 효과가 ... ...
화성살인 수사 "건조 상태 세포 15개로도 30년 넘은 DNA 주인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9.19
작은 혈흔에서도 충분히 DNA를 분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현재에는 장갑이나 양말
안쪽
등에서도 DNA를 확보해 분석하는 일이 가능하다. 최근에 일어난 사건은 물론, 과거 미제로 남았던 사건이라도 화성 연쇄살인 사건처럼 증거물이 남아 있다면 현 기술로 용의자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최대 이각이라 한다. 태양중심설을 가정하고 지구
안쪽
궤도에 수성과 금성이 있다고 세팅하면 이 두 행성이 최대 이각을 가지는 이유를 쉽게 설명할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설에서는 수성과 금성의 최대 이각이 자연스럽게 설명되지 않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금단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쥐의 앞 발목
안쪽
에 침을 놓는다. 이 위치는 사람에서 손목
안쪽
에 있는 혈자리인 신문혈(神門穴)에 해당한다. 20초 동안 침을 놓은 뒤 15분 동안 떨림을 측정한 결과 거의 대조군 수준으로 떨어졌다. 알코올의존증의 대표적인 금단현상이 사라졌다는 말이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한다. 중간 부분은 세포막을 관통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한쪽 끝은 세포막
안쪽
에 놓여 바깥쪽 수용체가 항원에 달라붙었다는 신호를 세포 내로 전달해 적절한 반응을 유도해야 한다. 그 결과 항원(HIV의 gp120)을 표면에 내놓은 감염된 세포가 소멸된다. 연구자들은 gp120의 서로 다른 부분을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한 프로토타입 외에도, 모든 전극과 와이어가
안쪽
에 장착돼 있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무선 루크 암을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루크 암을 낀 사람이 사물의 특성에 따라 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손을 흉내 낸 신경근육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 ... ...
공전주기 6.91분밖에 안 되는 이중성계 백색왜성 관측
연합뉴스
l
2019.07.26
안쪽
의 작고 밝은 별이 고밀도의 주별이며, 바깥쪽이 짝별이다. [Caltech/IPAC 제공] 지구에서 약 7천8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생을 마감한 이중성계의 백색왜성들이 토성의 지름밖에 안 되는 거리를 두고 서로 빠르게 돌고 있는 것이 관측됐다. 공전 주기는 6.91분으로 지금까지 관측된 ... ...
음식물 넘기는 인공식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이식하고 생물반응기에서 3일간 배양해 인공식도를 만들었다. 특히 식도
안쪽
에는 상피세포를, 식도 바깥쪽에는 근육세포를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인공식도를 쥐에게 이식한 결과 식도가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넘기는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정은재 교수는 ... ...
약 1억6천500만년 전 화석서 현대 포유류 설골 확인
연합뉴스
l
2019.07.22
동물로, 중생대 시대의 멸종 포유류인 도코돈 계통으로 분류돼 있다. 포유류 설골은 입
안쪽
인두와 후두, 식도 입구를 연결하는 'U자형' 뼈로 두개골에 관절로 연결돼 움직임이 자유로워 혀와 목 근육을 움직여 씹은 음식을 목구멍으로 넘기는 데 도움을 준다. [에이프릴 네안더 동영상 캡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