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뉴스
"
얼굴
"(으)로 총 1,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에 지문 인식 다시 생기나…코로나19가 바꾼 생체인식 시장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모델을 적용해 2차원
얼굴
이미지를 3차원으로 전환해 인식하며, 0.3초 만에 160만 개의
얼굴
을 검사할 수 있다. 정확도는 99.7%다. 안면 인식 기술은 범죄자 색출용 보안 기술 등 활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런던 경찰청은 범죄 용의자를 찾기 위해 시내 곳곳에 안면 인식 카메라를 설치해 운영하고 ... ...
강아지 눈빛을 가진 여성
팝뉴스
l
2021.08.19
눈은 사람의 눈이 아니다. 사진은 우연한 순간 포착 상황을 담았다. 개와 사람의
얼굴
이 ‘합체’되듯이 하나가 되었고, 사람이 마치 개의 눈을 가진 것처럼 착시가 일어났다. 볼수록 신기하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올림픽의 과학]은메달과 동메달 행복감 별 차이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동메달리스트의 행복도는 5.7점으로 은메달리스트의 4.3점보다 높았다. 은메달리스트의
얼굴
은 울상이거나 무표정이 많았지만 동메달리스트는 환하게 웃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사진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금메달은 14명 중 13명이 미소를 지었고, 동메달은 2 ... ...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구현했다. 연구팀은 제작된 뉴로모픽 반도체로 뇌의 기능을 일부 모방해 글자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 인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뉴로모픽 반도체는 집적도 개선과 비용 절감 등으로 뉴로모픽 반도체 하드웨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 ...
[카드뉴스] 귀신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판단하려고 인류의 뇌가
얼굴
에 더 많은 신경을 쓰도록 진화해왔기 때문입니다.
얼굴
과 조금이라도 비슷한 모양을 보면 뇌의 내측두엽에서 바로 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측두엽에 문제가 있는 간질 환자는 이럴 때 귀신을 봤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소설 ‘죄와 벌’로 유명한 러시아 소설가 ... ...
바이러스 독해질수록 '보건용 마스크' 써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조절이 가능한 마스크의 경우 차단 효과가 5배나 증가했다. 연구팀은 마스크를 착용할 때
얼굴
에 맞게 밀착해야 하며, 머리를 움직일 때 마스크가 벌어지지 않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식약처 제공 식약처 제공 식약처 제공 ... ...
"모더나 1차 접종시 델타변이 72% 예방…입원·사망 96% 막아줘"
연합뉴스
l
2021.07.22
추진단은 "모더나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의심 증상이 발생하거나 피부 필러 시술자가
얼굴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는 신속히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SNS 사용에 지쳐가고 있다면
2021.07.17
활용된다. 즉 정확성은 담보할 수 없지만 피곤함만은 확실히 담보할 수 있는 일이다.
얼굴
을 마주보고 있어도 어려운데 랜선으로 눈치를 잘 보겠다고 하는 것은 인간의 능력 밖에 있는 일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 같다. 우리는 비언어적 신호 없이 아주 짧은 문구나 이미지만으로 상대의 의중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평평하다. 또 네안데르탈인은
얼굴
이 긴 반면 하얼빈 두개골은 현생인류처럼 짧아
얼굴
이 동그랗다. 결국 하얼빈 두개골은 고인류의 특징과 현생인류의 특징이 모자이크돼 있다. 그래서인지 두개골을 바탕으로 그린 상상도를 보면 네안데르탈인보다는 덜 억세 보이고 심지어 ‘온화한 원시인’처럼 ... ...
[카드뉴스] 뭐라 설명할 수 있는 '오글거림'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 행복할 때 자동적으로 입꼬리가 올라가는 것처럼 말이죠. 감정이
얼굴
로만 나타나지도 않습니다. 대화를 할 때 앉아있는 자세, 놀라거나 흥분했을 때의 호흡 등으로 어렵지 않게 감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19세기 심리학자인 윌리엄 제임스와 칼 랑게의 정서 이론에서는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