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뉴스
"
천문학자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최초의 블랙홀 영상. 사진제공 EHT 10일 인류 사상 처음으로 블랙홀의 실제 모습이 공개됐다. 유럽남방천문대는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을 통해 관측했던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를 세계 7개국에 동시 생중계로 공개했다. EHT는 세계에 산재한 전파망원경을 연결해 지구 크기의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확인됐다. 은하 중심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는 1974년 미국국립천문대의
천문학자
브루스 발릭과 로버트 브라운의 관측에 의해 그 존재가 예측됐다. 이 블랙홀은 이후 천체의 운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증명됐다. 2002년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팀은 궁수자리 A* 근처 별의 운동을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유럽남방천문대(ESO)가 10일 오후 1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간접적으로만 보던 블랙홀, 이제 직접 관측 이후
천문학자
들은 블랙홀의 존재를 믿고 관측을 통해 크고 작은 무수한 블랙홀을 발견하게 됐다. 생성 원인이나 성질도 이론을 통해 밝히고 있다. 별의 잔해와 먼지가 블랙홀 주변에 거대한 회전 원반을 이루며 ... ...
'인터스텔라 속 블랙홀은 얼마나 사실적일까' 관측결과 오늘밤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영화 '인터스텔라'에 등장하는 블랙홀의 이미지. 그 동안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지 못해 계산에 의존해 추정했던 블랙홀의 모습을 10일 밤(한국시간) 발표되는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 프로젝트 결과로 확인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터스텔라 영상 캡쳐 인류는 사상 처음으로 블랙홀의 ‘ ... ...
안드로메다의 자세한 모습을 사진에 담다…제27회 천체사진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씨의 ‘Herschel 3 Catalog’와 윤관우 씨의 ‘불꽃잔치’가 차지했다. Herschel 3 Catalog는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발견해 정리 및 출판한 천체목록으로 하원훈 씨는 목록에 있는 300개를 2년에 걸쳐 촬영했다. 윤관우 씨의 '불꽃잔치'. 천문연 제공 윤관우 씨는 동영상 부문 금상을 차지한 이시우 씨와 ... ...
액체헬륨 가격은 왜 치솟았나…장기화 땐 핵융합·발사체 사업 차질 불가피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액체헬륨이 병에서 분수처럼 솟아오르는 초유동 현상. 영하 271도의 액체헬륨은 점성이 사라져 기체도 통과하지 못하는 구멍을 통과한다. 액체헬륨이 미세한 구멍이 난 병을 통과해 들어가면 병 안에 있는 헬륨이 뿜어져 나온다. 의료용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와 핵융합로, 한국형발사체 등에 활용 ... ...
북한 과학 국제연구는 김일성종합대,국내 연구는 김책공대가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김책공대연구소 전경.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제 연구는 김일성종합대가, 국내 연구는 김책공업종합대(김책공대)가 주도하는 것으로 국제 및 북한 학술지 논문 데이터 분석 결과 나왔다. 국제 연구에서는 레이저 등 물리학과 제어수학이, 국내 연구 주제로는 ... ...
17일 밤하늘에 수백개의 별이 담긴 '여물통'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M44’로 올라 있다. 메시에 목록은 별이 아닌 천체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작성했다. 프레페레성단은 거리 520광년으로 지구에서 상당히 가깝다. 지름은 14광년이다. 찾기 쉽고 뚜렷해 아마추어들에게 인기가 많다. 달이 없는 밤이면 보름달보다 큰 성단을 ... ...
[블랙홀 그림자 공개 임박]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
2019.03.10
‘직관’하는 것은 아니고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
들은 EHT의 관측 성능을 개선해 정지한 블랙홀(슈바르츠실트 블랙홀)과 회전하는 블랙홀(커 블랙홀)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수준의 영상을 포착하고자 하는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 이 두 블랙홀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