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소
폐지
파기
처분
증여
양도
매각
뉴스
"
폐기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베일벗은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사고 가능성 100만분의 1"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밝혔다. 붕산 없이 제어봉만으로 노심을 제어하는 무붕산 노심 기술도 적용된다. 액체
폐기
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고 붕산 농도를 조절하는 냉각재 화학 및 체적제어 계통(CVCS) 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원전 설계가 단순화된다. 정상운전 시 운전원이 실수할 가능성도 줄일 수 있다는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위한 투자와 연계해 연구용 URL 건설을 진행할 것"이라며 "URL은 실증 전 연구시설로 방사성
폐기
물을 두지 않고 구조 지질 특성만 분석하는 식으로 지역을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자가 분석한 중국 상황..."중국 백신 효능 떨어져 사망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전용통로'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달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
한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재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 세계 각국은 중국에 대한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다. 한국도 5일부터 중국발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운전 5년간 연평균 50일에 그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하나로를 활용한 연구를 진행중인 한 연구자는 "생물학 시료의 경우 원자로가 멈추면
폐기
하거나 다시 제작해야 한다"며 "규정 변경 전에는 1~2년 걸리던 재료 조사 시험이 5년 넘게 지연되는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하나로를 운영 중인 원자력연의 관계자는 "연구용 원자로의 기준을 일반 원전 ... ...
'먹어도 안전'...새해엔 유통기한보다 긴 소비기한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소비기한 연구센터 개소식에서 "소비기한 표시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식품
폐기
가 줄어 탄소중립 실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냉매는 이산화탄소보다 2000배나 강력한 온실가스라는 게 문제다. 가동 중 새거나
폐기
된 뒤 유출된 냉매의 양이 점점 늘어나면서 이대로 가다가는 온실가스 효과가 2050년에는 이산화탄소의 20%에 이를 전망이다. 따라서 HFC를 대체할 수 있는 냉매 연구가 한창이고 HFO 같은 새 냉매가 개발되기도 ... ...
우주탐사 시대 동력원 원자력전지 빛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상황이 바뀌었다. 과학자들은 환경오염에 위협이 되면서 처분도 쉽지 않은 핵
폐기
물이 우주에서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면 ‘일석이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아메리슘의 또다른 장점은 저렴한 생산 비용이다. 생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원료물질 자체도 저렴해 플루토늄보다 적은 ... ...
美 과학자들, 무한 청정에너지 '핵융합' 실현 돌파구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4
내는 핵분열을 통한 원자력 발전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핵융합은 온실 가스나 방사성
폐기
물 같은 부산물이 없다. 약 1kg의 핵융합 연료로 1000만kg의 화석 연료와 맞먹는 에너지 생산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1950년대 이후 전 세계 많은 과학자들이 이론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 ...
버려지는 탄소섬유 해상태양광 설비로 재탄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3
패널을 유지·보수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김 수석연구원팀은
폐기
되거나 싼값에 팔리는 저품질 탄소섬유를 '업사이클링'하기로 했다. 탄소섬유 표면은 탄소원자가 육각형으로 배열된 그라파이트 구조로 이뤄져 있어 안정적이다. 다만 탄소섬유와 플라스틱 수지 간 접착강도를 ... ...
시행착오 겪어야 일상 문제 해결하는 혁신 나와
과학동아
l
2022.12.10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폴리포머(Polyformer)를 이용해 1.75mm 지름으로 길게 뽑은 플라스틱
폐기
물은 그대로 3D 프린터의 필라멘트로 사용할 수 있다. 르완다의 메이커스페이스에서 근무하던 이들이 필라멘트 수입 비용 문제를 두고 고심하다 떠올린 해결책이다. 누구나 폴리포머를 만들어 사용할 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