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풍성함
비옥함
호화로움
많음
힘참
교묘함
풍요함
뉴스
"
풍부함
"(으)로 총 1,369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양식 장어, 꼬리가 좋다?… 한의학에선 "모든 부위가 스테미너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장어구이 요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력 회복과 함께 입맛을 돋우는 음식으로 장어를 빼놓을 수 없다. 물 없이도 만리를 간다는 힘 좋은 물고기인 장어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대표적인 보양식 중 하나이자 스테미너의 상징으로 유명하다. 특히 5월에서 6월까지 제철 장어의 경우 부드럽고 기름진 ... ...
"임신 초기 고지방 음식 먹으면 아이는 짠음식 선호"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음식물에 염분을 더하는 소금.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임신 초기에 고지방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아이로 하여금 짠 음식을 선호하는 입맛을 갖게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 중 엄마의 식습관이 아이에게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염분이 많은 음식 위주의 식단은 비만, 당뇨병, 간질환 그리 ... ...
지구 물 기원 외부 유입설 일축..."초기 지구에도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4
픽사베이 제공 지구 표면의 75%를 덮고 있는 물은 어디서 왔을까.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기원을 놓고 과학계에선 지구가 만들어질 당시에도 물이 존재했는지에 대해 오랜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지배적 이론은 지구가 형성될 당시 태양계 내부가 너무 뜨거워 물이 응축되지 못했고 지구에 ... ...
유리개구리, 투명한 이유는 "간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23.04.22
유리개구리. Jesse Delia 제공 판타지 소설 ‘해리포터’의 마법사들도 탐낼 만큼 투명한 몸을 가진 동물이 있다. 중남미 열대우림에 사는 유리개구리다. 너무 투명해서 훈련을 받은 연구자들조차 잎사귀 뒤에 숨은 유리개구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할 정도다. 유리개구리가 몸을 완전히 투명하게 ... ...
우주로 갔다 처음으로 생환한 생쥐, 골다공증 치료 단서 가져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0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주 환경의 극미중력에 노출돼 뼈에 손상이 생긴 쥐에게서 골손실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단서가 발견됐다. 장에 존재하는 마이크로바이옴(체내미생물)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골손실에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미국우주항공국(NASA)이 우주로 쥐를 보 ... ...
나트륨배터리 수명과 출력, 획기적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8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바인더를 적용해서 제작 중인 양극.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리튬이온배터리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나트륨 배터리의 수명과 출력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최성훈 광주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고전 ... ...
에너지 태우는 '베이지색 지방', 나이들수록 감소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미토콘드리아가 풍부하고 지질 방울이 흩어져 있는 갈색 지방 세포. 위키미디어 제공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체내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의 지방이 있다. 백색 지방과 갈색 지방이다. 백색 지방은 칼로리를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비상 상황 시 에너지원으로 쓰이지만 ... ...
원숭이 줄기세포로 배아구조 최초 구현…대리모 임신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인공 배아 구조의 기반이 된 배아 줄기세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국 과학자들이 원숭이의 배아 줄기세포에서 배아와 유사한 구조를 만들었다. 배아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태아로 발전하기 전단계다. 이번에 만들어진 원숭이 배아는 암컷의 자궁에서 임신과 유사한 호르몬 반응을 보였다. 실제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임종우 서울대 화학부 교수.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실리콘 웨이퍼’를 전고체전지 음극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실리콘 웨이퍼를 전극으로 사용하면 리튬 이동이 용이해 배터리의 안정적 충방전이 가능하다. 부피당 밀도도 높아 고에너지 밀도 달성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종 ... ...
[박정연의 닥터스] 생체신호 데이터로 수술만큼 중요한 '환자안전 관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김성훈 서울아산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최근 서울아산병원에서 기자와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한 해 200만건의 수술이 이뤄진다. 의료 인프라가 발달한 만큼 시행되는 수술 건수가 적지 않다. 수술 건수가 늘어나면 수술 중 의료진의 과실이나 장비 문제로 인한 안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