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김성용 KAIST 교수, 세계 해양 디지털 트윈 위원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24.03.22
기계공학과 교수가 전 세계 해양 디지털 트윈(DITTO)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한국 해양
학자
로서는 유일하게 선출됐다고 22일 밝혔다. 김 교수는 해양 물리 관측 분야 전문가로 전 세계 해양 디지털 트윈을 운영하고 결정하는 권한을 갖는다. 임기는 3년이다. 해양 디지털 트윈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 ...
제17회 아산의학상에 이창준 소장·김원영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가까이로 끌어올린 공로를 인정받았다. 만 40세 이하의 의과
학자
에게 수여하는 젊은의
학자
부문의 정인경 교수는 '3차원 게놈' 지도를 해독해 파킨슨병, 암 등의 질환 유전자가 활성화되는 기전을 규명했다. 오탁규 교수는 국내 마약성 진통제 오남용 실태 연구로 처방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 ...
일기예보·AI 토대 '확률론' 대가 탈라그랑,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난제를 풀어 2022년 필즈상을 받았다. ● 유전병도 이긴 뚝심 72세 노년의 수
학자
인 탈라그랑 교수의 인생이 늘 평탄한 건 아니었다. 오히려 그 점이 수학으로 그를 이끌었다. 1952년 2월 15일 프랑스에서 태어난 그는 5세 때 유전병으로 한쪽 시력을 잃었다. 10년 후 다른 한쪽도 실명할 위기에 ... ...
기록적인 더위가 기후위기 가속화?…엇갈리는 과
학자
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7
수온이 낮아지는 라니냐가 확대되면서 폭염이 다소 진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학자
들은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일 것이라 내다봤다. 라울 코르데로 칠레 산티아고대 교수는 "최근의 모든 기온 기록은 조만간 깨질 것이며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중단할 때까지 상황은 계속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필요악' 스트레스 활용법도 중요하다
2024.03.16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한 뼘 더 자라나는 경험 또한 앗아가게 된다. 스탠포드대의 심리
학자
알리아 크럼등에 의하면 이렇게 스트레스를 부정적으로만 보게 되면 스트레스를 '관리'해가는 대상이라기보다 제거하고 피해야 하는 대상으로만 여기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내가 충분히 견딜 수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03.16
지상의 나무처럼 생겼다는 게 그 이유였습니다. 그러다가 18세기 독일의 천문
학자
윌리엄 허셜이 당시 최신 기술이 집약된 기계 '현미경'으로 산호를 관찰해 산호가 식물이 아닌 동물이란 사실을 밝혔습니다. 허셜이 살아가던 18세기에도 그리고 오늘날에도 과학의 발전 덕에 인간이 보고 겪는 ... ...
도심 비둘기에 '불임 모이' 주자?…"참새·직박구리도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줘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면서도 생태
학자
들은 사람이 사료를 주는 행위에 대해서는 지적했다. 장 교수는 "비둘기는 충분히 사람들 주변에서 음식 쓰레기를 뒤지며 살아가고 있다"면서 "음식을 주는 행위 때문에 비둘기가 인간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그런 통계가 자연과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9세기 말 오스트리아의 물리
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에 의해 정립된 통계열역학은 물론이고 현대 과학의 가장 중요한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양자역학도 근본적으로 통계적 해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론의 정립에 누구보다 중요한 ... ...
70여년만에 온 '악마 혜성' 이달 육안으로 볼 수 있다
2024.03.12
장 루이 폰스와 그 다음으로 혜성이 돌아온 1883년에 이를 관측한 영국계 미국인 천문
학자
윌리엄 로버트 브룩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지름이 약 30km에 달하는 핵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혜성은 가열되면서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먼지, 가스, 얼음이 함께 분출된다. 지난해 있었던 폭발로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
학자
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높아진다. 백 교수는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해 오히려 협약 등을 통해 AI 개발자와 과
학자
들이 프로그램을 자꾸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협약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와 소스를 공개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분위기를 형성하면 공개된 자료를 보며 서로 토의하고 문제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