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안정
불균형
불평등
불균등
불확정
불안
의혹
스페셜
"
불확실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본격적인 ‘원자력 수출국’으로 도약대 마련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사안마다 미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미국의 승인 지연 등 예상치 못한
불확실
성 하에 언제나 노출되어 있던 것이다. 하지만 이번 협정에는 한미 양국과 원자력 협정을 체결한 제3국에 대해서 우리 원자력 수출업계가 미국산 핵물질, 원자력 장비 및 부품 등을 자유롭게 재이전할 수 ... ...
달라진 기후변화협약, 에너지 시장 어떻게 바뀌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1
현실로 다가온 지금, 새로운 기후체제의 성패는 우리와 후손들이 안전한 미래에서 살지,
불확실
하고 위험한 미래에서 살지 결정하는 만큼 현재의 전력시장 변화는 어느 때보다 주의깊게 지켜보아야 한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급성독성이 미미하고 사람에게 미치는 만성독성은 아직
불확실
한) DDT를 대신해 파라티온(유기인계 살충제) 같은 유독한 물질이 쓰인다는 건 넌센스다. DDT가 야생생물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가 나오고 있다고 할지라도. - 케네스 드브와, 미국 시카고대 독성학자 스위스의 화학자 폴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소모적인 대립을 막고 최대 다수의 합의를 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확실
한 요인을 선택하는 데 주관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고, 시나리오 작성 주체에 대한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박 소장은 시나리오 씽킹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 미래의 리스크에 대비하는 데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조삼모사의 상황이라고 섣불리 판단하지 말기 바란다. 앞은 확정적인 표현이고 뒤는
불확실
한 표현이다. 조사결과 72%가 프로그램A를 선택했다. 기대치가 같을 때 사람들은 좀 더 확실한 상황을 선호하는데 이를 ‘위험회피(risk averse)’라고 부른다. 이제 프레임을 달리한 버전이다. 1.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활발하다. 그러나 규모가 커질수록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성사 여부도
불확실
하고 설사 지어지더라도 여기서 초대칭입자가 검출되지 못하면 사실상 실험으로 입증할 방법이 없다. 그렇더라도 끈이론 학자들은 초대칭입자의 질량이 가속기의 충돌 에너지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하면 ... ...
빅데이터 덕분에 흥미진진해지는 세상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2.11
분석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면 아무리 노력해봐야 별 의미가 없다. 물론 어느 상황에서든
불확실
성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지만 데이터를 만들어낸 사람들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할수록 신뢰도가 높아지고 기술이 유용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앞의 3가지 조건은 지속적으로 충족되고 있지만 ... ...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
2014.12.04
중국과학기술대가 발표한 북한 핵실험 추정 논문 -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제공 북한이 지금까지 공개된 세 차례의 핵실험 이외에 지난 2010년에 소규모의 지하 핵실험을 실시했다는 주장이 중국 과학계에서 제기됐다. 이 주장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근거가 부족하다”며 일축하고 있다.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5만 도로 추정하고 있다. 별의 나이는 300만 살 이내로 보인다. 현재의 데이터로는 여전히
불확실
한 변수가 많다는 얘기다. 연구팀이 제시한 W49nrl 모형을 보면 지름이 태양의 25.5배에 이르는 파란 별이다. 별이 커지면 밀도가 꽤 낮아지나 보다. 그림에서 오른쪽 흰 점이 태양이다. 태양의 지름은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적령기에 더 가까운데다 하루 종일 실험실에서 일하면서 상대의 일상 모습을 지켜보며
불확실
성이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커플이 깨지면 서로 불편해지므로(한 명이 실험실을 떠나는 경우도 있다) 갈등이 생기면 바로 갈라지는 CC와는 달리 웬만하면 참고 넘기는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어찌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