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아니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에 불과한 그의 제안이 통계학 전문가들과 생쥐나 인간
세포
연구자들에게 받아들여진다는 것도 이상한 일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의생명과학에서 P값을 추정량 통계로 완전히 뒤바꿀 계획을 진행한다. 그리고 2018년 6월 그는 “P값을 넘어서: 추정량 ... ...
코로나19 감염되면 위험할 사람 따로 있다…중증 확률 높이는 유전자 변이 16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9 중증을 치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연구에서는 감염 후 폐의 면역
세포
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백질인 ‘GM-CSF’의 유전자 변이가 일어난 경우도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나타났다. 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인 오틸리맙은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험중이다 ... ...
코로나 확진 우리 아이 위험신호는 '고열·컹컹 기침소리·호흡 곤란'
동아사이언스
l
2022.03.08
뻣뻣해지는 열성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연령대는 뇌가 아직 덜 성숙해 고열이 뇌
세포
를 자극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때문에 어린 자녀가 있는 부모들은 열성경련이 나타나면 뇌전증이나 뇌손상, 발달 장애가 일어날까봐 걱정한다. 오재원 한양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열성경련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시스템이 부실해지면 아밀로이드베타(amyloid-베타) 같은 노폐물 덩어리가 쌓이고 미세아교
세포
(microglia)가 활성화돼 염증반응이 일어나 결국 뉴런이 죽는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오른쪽). 사이언스 제공 ○ 새로운 불면증 치료제 등장 앞서 언급했듯이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 다음 라운드가 오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7
특허 전쟁에는 국내 기업 툴젠도 참전하고 있다. 툴젠은 2012년 10월 미국에 진핵
세포
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활용하는 기술로 특허 가출원을 진행했다. 미국 특허청은 툴젠의 특허에 대해 다른 특허와 독립된 기술인지를 가리는 심사를 진행중이다. 툴젠 관계자는 “이번 브로드연구소의 승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이아릴 화합물 합성의 새 종결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3.05
그러나 반응성과 선택성을 제어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랐다. 연구팀은 생명체
세포
에서 다양한 산화환원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시토크롬 P450’ 효소를 활용했다. 시토크롬은 철을 가진 헴단백질의 일종으로 산소를 전달하거나 산화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토크롬이 하나의 방향족 ... ...
O형이 코로나19 위중증·사망 위험 낮은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면역
세포
와 혈관 사이의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세포
부착 분자 3종은 코로나19로 인한 위중증과 사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이전에 코로나19가 혈관 내막 관련 질병과 연관돼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라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 ...
감염병 시대, 연구하는 '의사과학자' 양성 목소리 커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3.04
최근 25년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약 40%도 의사과학자로 알려져 있다. 유도만능줄기
세포
(iPS) 연구로 노벨상을 받은 야마나카 신야 일본 교토대 교수가 대표적이다. 과학계에 따르면 매년 약 3000여명의 의사가 국내에서 배출되지만 2000년 이후 의사과학자의 길을 걷는 이는 매년 50명에 ... ...
코로나 확진자와 함께 먹고, 자도 감염되지 않는 '그들'이 있다…치료전략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노로바이러스 등 다른 질환에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체가 인간
세포
에 들어갈 때 활용하는 수용체가 부족해 감염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결합하는 수용체에 유전적으로 변이가 생겨 감염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유전자를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카카오, 코로나19 자가진단 챗봇 구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밝혔다. 엠큐렉스의 기술이 적용된 mRNA를 펨토바이오메드 전달 기술로 NK
세포
에 주입해 NK
세포
를 활성화시키는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기 위해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 한국간담췌외과학회는 올해 춘계 국제학술대회 및 56차 정기학술대회를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연다. 26개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