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유전자 지도 공개 20년 ‘슈퍼스타 유전자’ 톱8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지금까지 160여 종의 질병에 관련된 것으로 확인됐다. 3위로 뽑힌 상피세포성장인자
수용
체(EGFR)는 돌연변이가 생기면 폐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위는 근육에서 운동 후 대사를 조절하는 인터류킨6(IL6) 유전자가, 5위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A) 유전자가 차지했다. VEGFA 유전자는 노인성 ... ...
국산 항체치료제 영국 변이엔 '효과', 남아공 변이엔 '무력'(종합)
연합뉴스
l
2021.02.12
변이주에는 'E484K'라는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이 있는데, E484K처럼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수용
체와 결합할 때 활용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결정적 변이가 일어난 경우 미국 항체치료제도 효능이 매우 낮았다"며 "어느 정도 예측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방대본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남아공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경쟁과 불평등의 이데올로기
2021.02.11
경쟁, 확산의 담론에 대한 비판'이라는 논문에서 능력주의가 지배적 정치 이데올로기로
수용
되는 생태계에선 중요한 사회정치적 변화가 발생한다고 말한다. 그런 변화는 세 종류로 축약되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이 우월한 사람들이 상위계층을 차지하고 하위계층의 대표는 사라진다. ... ...
“화이자 백신,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감염 막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09
남아공에서는 이 변이 외에도 E484K 변이가 확인됐다. E484K도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의
수용
체와 결합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화이자 백신을 2번 맞은 20명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했다. 이들은 화이자 백신 임상시험 참여자들로 3주 간격으로 백신을 2회 접종 받았다. 접종 후 2~4주 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2021.02.04
이후 20세기에도 과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다윈의 진화론이 20세기에
수용
되는 과정에는 다소간의 부침이 있었다. 무엇보다 다윈의 진화론에서는 유전 메커니즘이 빠져 있었다. 유전은 진화에서 빠질 수 없는 단계이다.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한 변이가 후대에 전해져야 ... ...
英 변이 바이러스에서 남아공 변이 확인…백신 효능 변수 점점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영국의 B.1.1.7에는 없는 E484K 변이가 확인됐다. E484K도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의
수용
체와 결합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변이 바이러스는 ‘B.1.351(또는 501Y.V2)’ 변이주로 불린다. 브라질에서 등장한 변이 바이러스는 N501Y, E484K와 함께 K417T에서도 돌연변이가 확인됐다. 현재 ‘B.1.1.28.1 ... ...
[KAIST서밋]"역사 바꾸는 것보다 역사수업 바꾸는게 어려운 시대...새 기술 도입해 변화
수용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우리는 연구에서만이 아니라 교육 과정에서도 새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서 변화를
수용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샤피로 총장은 기술 활용의 사례로 ‘거꾸로 수업’을 언급했다. ‘거꾸로 수업’은 학생이 교실 밖에서 전달받은 자료로 미리 기본적인 교과 내용을 공부하고 수업 시간에는 ... ...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467명….나흘만에 400명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여전히 신규 집단감염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서울 남부교도소의
수용
자 중 9명이 확진 판정을 받아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서울 강동구 한방병원 관련해서는 총 20명이 확진됐고 경기 안산시 병원 관련 14명, 시흥시 제조업 관련 1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집단감염 외에도 ... ...
“18세 이하 확진자 9% 미만”…유치원·초등학교 등교 재개에 힘 실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혈전 발생 가능성도 적다”며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해 세포에 달라붙는 부위인
수용
체의 분포도 어린이와 어른이 달라 어린이가 코로나19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올해 1학기에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이하일 ...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계속 출현할 것. 새로운 백신 계속 개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변이가 일어났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
체 단백질과 결합하는 부위다.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일어나면 ACE-2와의 결합력이 강해져 감염력이 높아질 수 있다. 해외에서는 역학 조사 결과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력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