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스페셜
"
학부
"(으)로 총 47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미래형 교육혁신 선도학교 모집 공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세미나, 심포지엄 등 공동개최 등을 진행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최원일 기초교육
학부
교수가 번역한 ‘나이 듦의 이로움’이 출간됐다고 26일 밝혔다. 해당 도서는 앨런 카스텔 미국 로즈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 교수의 저술 도서인 ‘Better With Age’를 번역한 책이다. 노년기에 겪는 문제들을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식물 적응에 영향 주는 '마이크로 기후'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비드 쿠메스 영국 케임브리지대 식물
학부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적으로 측정하는 기후변화가 아닌 숲과 같은 생태계에서 벌어지는 ‘마이크로(미세) 기후'의 변화를 측정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날 공개했다. 기후변화를 측정하기 ... ...
中 우한도 다시 봉쇄…봉쇄 해제 후 한달만 집단감염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인구가 밀집한 지역들을 우선 검사할 것을 권고했다. 양잔키우 중국 우한대 병원균생물
학부
교수는 환구시보에 “약 300~500만 명의 거주민이 검사를 마치고 건강함을 증명했다”며 “우한은 약 600~800만 명을 10일 내로 검사할 역량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영국 BBC에 따르면 중국 ... ...
학원 간 중고생 6명 확진, 3차 감염 추정 사례까지 나왔다…클럽발 집단감염 지역으로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이달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보건소 관계자들이 이태원 유흥밀집 거리를 방역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을 방문한 인천 지역 20대 학원 ... 취하겠다”며 “학생들이 학원 뿐 아니라 PC방 등 다중 이용 시설 방문을 자제하도록
학부
모들에게도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 ...
"인포데믹 탓에 백신 거부 운동까지 등장"…국가간 협력 필요할 만큼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0.05.12
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는 송하중 과총 정책연구소 소장과 김형주 서울대 컴퓨터공
학부
교수, 이석봉 대덕넷 대표가 패널로 참여했다. 포럼 다시보기 : https://youtu.be/1AEXEuyLTvM ... ...
[과학게시판] 국가R&D사업 예산 배분·조정 사업설명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이어지는 토론에는 송하중 과총 정책연구소장을 좌장으로, 김형주 서울대 컴퓨터공
학부
교수, 이석봉 대덕넷 대표가 패널로 참여한다. 생활 방역 실천을 위한 청중 없는 온라인 포럼으로 개최되며 실시간 댓글을 통해 질문을 접수받고, 전문가가 답하는 소통도 이루어질 계획이다. 유튜브와 ... ...
코로나19 증상 추적 앱, 감염병 발생 찾아내는 능력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6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앤드류 챈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면역학 및 감염병
학부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관련 증상 정보를 대규모로 수집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코로나19 증상 트래커(추적)'를 개발하고 여기서 모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이달 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표지로 읽는 과학]천연 항균물질이 세균 죽이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5.02
천연 항균제로 이용하기도 한다. 저우홍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미생물
학부
교수와 제프 밀러 교수 공동연구팀은 녹농균이 만들어내는 박테리오신 ‘피오신’이 어떻게 다른 세균을 죽이는지를 밝혀낸 연구결과를 지난달 15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세한 분자를 관찰하는 ... ...
대재앙 일어날 정확한 '그날'을 예언한다…난제 중 난제 '기후재앙' 막을 해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3
양을 늘릴 수 있다. 심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이종권 청주대 광기술융합
학부
교수도 지구 온난화를 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재생에너지 기술을 제안했다. 심 교수는 뉴로모픽 기술과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융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뉴로모픽’은 인간의 뇌와 유사하게 정보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
2020.04.23
5월 4일 생애를 마쳤다. 얼마 남아 있지 않은 기록에 따르면, 그는 1916년 미주리대에서
학부
를 마치고 이후 존스홉킨스대에서 의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17~1918년 툴레인대에서 해부학 강사로 재직하다 1921~1922년 헨리 포드 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다. 1924~1926년까지 버팔로대 의대 생리학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