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표지판이 세워져 있었답니다. “저기! 개구리 아파트가 있어요!” 탐사를 시작하고 가장 먼저 만난 건 개구리였어요. 작은 연못의 돌탑에 개구리들이 모여 있었어요. 작은 틈 사이 층층이 올라가 있는 개구리들의 모습이 마치 ‘개구리 아파트’ 같았지요. 이 아파트에 살고 있는 개구리(Hylarana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어요. 배아 연구는 OK, 착상은 NO! 이번 연구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유전자를 교정한 배아를 엄마의 몸에 착상시켰다는 점이에요. 이번 연구로 태어난 쌍둥이 아기는 선천적으로 돌연변이를 갖고 태어났지요. 하지만 이 돌연변이가 어떤 형질로 나타날지 확신할 ... ...
- [에디터노트] 7,400 그리고 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들은 커서 운동선수가 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9.8%), 이어서 교사(8.7%), 의사(5.1%), 요리사(4.9%) 순이었다. 5위는 ‘유튜버(인터넷방송 진행자·4.5%)’가 차지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꿈은 다소 ‘현실적’이 됐을 뿐 크게 다르지 않다. 중학생의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않아도 된다. 인공강우의 최대 영향거리가 약 200km인데, 한반도 서쪽 태안반도와 가장 가까운 중국의 산둥반도까지의 거리가 약 320km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한 지역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했다고 해서 주변 지역에 가뭄이나 홍수 같은 이상기후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한편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상태에서 2족 보행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무릎에 많은 힘이 집중됩니다. 이 때문에 가장 먼저 무릎 관절에 쓸 모터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합니다. 무릎 모터를 선정할 때 일차적인 기준은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무릎을 움직일 때 이 동작보다 더 큰 힘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제 파란 띠라며 자랑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여덟 살 꼬마였다. 10대의 나를 만나면 가장 하고픈 말“버스터가 만약 우주인이 되고 싶다고 하면 기분이 어떨 것 같아?” 문득 궁금해졌다. 버스터는 실제로 개럿에게 가끔 우주인이 되고 싶다는 이야기를 한다고. 하지만 개럿은 “아버지가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마련돼 있었고, 3층에는 컴퓨터와 노래방 기계가 놓인 방이 각각 있었다. 반 모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모두 함께했던 줄다리기와 친구들이 샤오카오(烧烤· 고기나 채소 등을 불에 구운 꼬치 요리)를 해준 것이었다. 사실 줄다리기의 목적 자체가 샤오카오를 구울 사람을 정하기 위함이었는데,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도착해야 합니다. 그래서 출발지를 안심중학교로 정하고 경로를 짜기 시작했지요. 가장 가까이 있는 지점을 골라 연결한 결과, 안심중-고산중-사월초-덕원고-대구고-효성초-영남중-성지중의 경로를 얻었습니다. 특히 덕원고등학교는 행사 시간인 낮 12시 전에만 도착하면 되기 때문에, 고산중학교와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합니다. 발사체를 개발하는 우리 기술진 250명을 대표해 결정을 잘 내리는 것이 저의 가장 중요한 임무죠. 제 비결은 기술진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는 겁니다.” 실제로 2017년 12월로 앞당겨졌던 시험발사체 발사예정일을 2018년으로 10개월 연기한 것은 엔진과 연료·산화제 탱크를 개발하는 기술진들의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보자! ● 반발계수의 변화 : 아슬아슬한 홈런성 타구가 많아진다공인구 변화에서 가장 화두가 된 건 공인구의 ‘반발계수’다. 반발계수는 물체의 충돌 전후 속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0~1 사이의 값을 갖는데, 0에 가까울수록 충돌 전에 비해 속도가 많이 준다는 의미다. 즉, 잘 튕겨 나가지 ... ...
이전32632732832933033133233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