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기
총포
권총
망상조직
화기
망
총선거
d라이브러리
"
총
"(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필수 불가결한 도구가 되어버렸다. 수백개의 독화살보다 잘 정비된 한 자루의
총
이 훨씬 더 위력이 있듯이, 눈짐작으로 화약열기를 헤쳐가며 시린 눈으로 퍼부어대는 곡사포 10대 보다는 정밀계측기계가 딸려 자동적으로 폭파지점을 보정해주는 한대의 대포가 훨씬 더 위력적이었음을 2차대전은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크다. 국토가 협소한데다 평지가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지만 국토의 3배가 넘는 대륙붕,
총
연장 1만7천㎞에 달하는 긴 해안선과 3천개가 넘는 크고 작은 도서가 있으며 무한한 바다가 있는 것이다.해양에 거주시설을 만들거나 공항 항만 발전소 등을 건설하는 것은 해양공간이용의 한 방편이다. ... ...
2. 공간이동이 자유롭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방이 무엇이었을까 궁금했을 것이다. 주인공의 얼굴사진과 목소리까지 담을 수 있고
총
을 쏘더라도 깨지지 않는 TV와도 유사하며, 들고 다니기에 부담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그것이 과연 무엇이었을까.50평에서 손바닥으로1945년 미국 펜실베이니어 대학의 모클리와 에커트에 의해 에니악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하천수가 수질환경기준치를 넘는 오염된 물이 된다. 즉 현재 우리나라의 하루 생활용수
총
량이 약 1천1백만t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모든 생활용수를 기준치의 2배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납과 시안폐수의 경우에도 6가 크롬의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다. 특히 수은폐수는 현재 발생량 2.1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절대 부족한 국내의 사정을 비춰볼 때 성분수혈의 확대는 시급한 문제다. 현재 국내의
총
혈액수요량은 연간 2백만명 헌혈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실제 헌혈량은 1백만명분 정도에 불과하다. 겨우 수술환자용 혈액수요를 충당하는 정도다. 따라서 알부민 등 혈액의 일정성분만을 추출해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1,2루간의 거리인 27.4m (약간의 리드가 있긴 하지만)를 달리기 시작한다. 공이 날아가는
총
거리는 57.19m이고 사람이 달려야 하는 거리는 27.4m이므로 투수 포수의 동작이 특별히 굼뜨지 않는한 아무리 빠른 주자라 할지라도 도루에 성공하기 어렵다.2,3루간 도루는 45.8m(공의 비행거리)대 27.4m(주자의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규모인 TDX10(10만회선 규모)의 상용실험을 성공리에 마친 현재까지(오는 10월 정식 개통)
총
1천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쏟아부었다.'홀로서기 10년만에 통신기술 자립'이라는 매스컴의 호평답게 TDX개발사업은 우리나라 전자통신사업에 굵은 획을 그었다. 올해만도 국내 교환기 시장은 4천억원에 이른다.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크므로 사람과 구조물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천발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는
총
지진 에너지의 75% 이상을 차지한다.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 지진은 대부분 이들 천발지진이다. 특히 육지에서 발생하는 천발지진은 숫자상으로는 전체의 15% 미만이지만 피해규모 면에서는 85%이상을 차지한다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팔도
총
도(八道總圖)와 각도지도(各道地圖)를 비롯, 천하
총
도(天下總圖)가 들어있는 지도첩과 팔도각도의 큰 판본(板本)들, 여지전도(輿地全圖)와 해좌전도(海左全圖),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 등은 훌륭한 목판지도들이다 ... ...
과학용어 통일 시급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미 경험이 있는 과
총
을 통해 계속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 작업에 과
총
이 적임인 또 하나의 이유는 각기 다른 분야에서 달리 쓰이고있는 용어의 조정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새로 발족한 국립국어연구원도 이 문제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협조해야 할 것이다.대체로 용어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