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뉴스
"
문제
"(으)로 총 14,51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힉스 입자 발견 10년, 그동안의 성과와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2.07.09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7일(현지시간) 입자들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왼쪽에는 ‘힉스 10'이라는 ... 입자에 대해 지금까지 이뤄진 면밀한 연구와 조사는 기초 물리학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
들에 대해 중요한 해결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주말N수학] 컴퓨터의 탄생
2022.07.09
종료한다’라는 명제 역시 P(x)가 정상적으로 종료하는지 판별할 수 있는데요. 정지
문제
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은 수학이 결정 가능성을 지니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7장 컴퓨터의 탄생 ※필자소개 최정담 작가. KAIST 전산학부에 재학하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폭력과 차별에 맞서는 정확한 표현
2022.07.09
말이라는 거울은 우리의 마음을 비춰내기도 하지만 반대로 말이 가리키는 현상이나
문제
의식을 우리 마음에 투영해 넣기도 하는 모양이다. 그 형태가 어떠하든 폭력은 폭력이고 차별은 차별이라고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곧 폭력과 차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가져올 것이다. ※필자소개 ... ...
필즈상 품고 입국 허준이 교수 “수학은 가끔 적당히 포기할 줄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문제
를 이해할 준비가 안됐거나 아니면 인류 전체가 아직 이해할 정도로 준비가 안된
문제
들이 많이 있다”며 “그럴 때 1년이고 붙잡고 있으면서 집착하기보다는 조금 더 편안하게 스스로에게 친절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수상 소감에 대해 그는 함께 열심히 연구한 동료를 대표해 큰 ... ...
호암상 수상자 키스 정 교수 “미래 질병 치료 길 여는 유전자 가위 기술 발전의 실질적 공헌자들은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8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유전자 교정 과정에서 원치 않는 부위까지 잘리는
문제
를 최초로 확인하고 이를 실제 세포에서 찾아내는 기술도 개발했다. 현재 이 방법은 학계와 생명공학 관련 산업계에서 표준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정 교수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미래 인간 유전병 ... ...
“올해는 한국 수학의 해”
2022.07.08
말했다. 다만 아직 풀어야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수학계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문제
로 국내 수학 연구 생태계 재편을 언급했다. 수학 연구자들이 수학을 연구할 수 있는 안정적 자리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가령 국내 사립대들은 취업률을 이유로 수학과를 없애고 있다. 동아일보DB 하승열 ... ...
[과학게시판]전기연, 소부장 우수 국가연구실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한국전기연구원 연구진이 이차전지를 연구하고 있다. 전기연 제공. ■ 한국전기연구원은 차세대전지연구센터의 ‘이차전지 기능성소 ... 수중함용 리튬이차전지 등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이차전지 산업계의 현안
문제
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아 장관상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 ...
日 연구진, 동결건조 피부세포로 복제 쥐 74마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정상적으로 생쥐 복제에 성공했다. 피부세포를 최대 9개월까지 동결 건조해도 복제에
문제
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액체질소 없이 전 세계 유전자원을 저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개발도상국 역시 귀중한 유전자원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7
교수는 “큰 환경
문제
로 대두되는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물 속 다양한 미세 독성 입자
문제
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에너지’에 지난달 11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 ...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 "한국에서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유년시절 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06
큰 즐거움”이라며 “그런 경험들이 쌓이게 되면 전혀 이해 못했던 난해했던
문제
도 풀어낼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국내 수학자들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그들을 위한 안정적 연구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젊음 수학자들이 즐겁게 큰 프로젝트를 ... ...
이전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