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에너지를 만드는 핵융합
발전
소를 짓는다는 원대한 목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실제
발전
소가 가동되려면 해결해야할 난제가 많아 상용화까지는 앞으로 30~40년 더 기다려야 한다. 국가핵융합연구소가 축적한 플라스마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응용연구를 2000년에 시작한 이유다.반도체 소자 집적화 ... ...
토마토 모양은 'SUN'이 결정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나 동그란 토마토(LA1589)로 모양결정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이 내용을
발전
시킨 것으로 SUN이 식물단백질(IQD12)을 만들어 토마토가 길쭉하게 자라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혔다.현재 연구팀은 토마토뿐만 아니라 고추, 오이, 조롱박 같은 다양한 작물로 연구 범위를 넓히고 있다 ... ...
하이브리드·유니크니스·미니멀리즘의 삼박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950개 브랜드가 참석해 세계 최초 공개차량을 50종 이상 선보이며 이런 과학기술의
발전
상을 보여줬다. 하이브리드차도 빠르다 H for HybridBMW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한 단계 개선한 콘셉트카 ‘이피션트다이내믹스’(Efficient Dynamics)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하얀색 외양은 전혀 화려하지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교수가 떠올랐다. 결국 20여 명은 원 교수의 지도를 받게 됐고 그 뒤 음색이 나날이
발전
해 새로운 앙상블을 창단하기에 이르렀다.그러는 사이에 클라리넷까지 관심이 넓어졌고 지금은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아마추어 관악 오케스트라인 ‘젤로소 윈드 앙상블’에서 베이스 클라리넷을 맡고 있다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캐나다도 이미 우주왕복선 화물칸에 장착해 그 성능을 입증 받은 로봇팔인 캐나다암을
발전
시켜 캐나다암2라는 로봇팔과 덱스터라는 로봇손을 연결한 이동형서비스시스템을 개발했다. 다만 일본만이 자체 기술로 한 번도 개발한 적이 없는 모듈(키보)을 2조7800억 원에 완성해 ISS에 설치하고 있다.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완벽하게 말을 할 수 없지만 침을 삼키거나 신음처럼 들리는 짧은 발음도 구사한다. 작은
발전
이지만 그를 지켜보는 의료진은 환자가 좋아졌다며 환호한다. 혀를 움직인다는 것은 의학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우리는 코로 숨을 쉬지만 입으로도 숨을 쉬고 있다. 사실 코와 입은 겉으로 보이는 입구가 ... ...
'무릎팍'
발전
소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감속할 때 생기는 마찰열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저장하는 것과 같은 원리”라며 “
발전
기를 개량해 무게와 크기를 줄이고 효율을 높이면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소형 의료기기를 충전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소프트웨어, 데이터백업 사라지는 클라우드 컴퓨팅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제공회사는 대형 데이터 센터를 에너지 가격이 싼 지역에 설치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발전
소 옆이나, 미국처럼 땅덩이가 넓은 나라에서는 전기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이나 냉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추운 지역에 설치하면 된다.특히 전체적으로 작업량이 줄어드는 새벽 시간에는 몇 대의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동물처럼 형태의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스 교수는 당시 급격히
발전
하고 있던 분자생물학을 주목했다. 현미경으로 미생물을 관찰해 분류하느니 세포 속에 있는 분자인 리보솜 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해서 분류의 기준으로 삼는 게 더 정확해 보였다. 예를 들어 사람과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못한다. 피가 모세혈관을 통과하지 못하면 피가 막히고 이것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발전
할 가능성이 높다. 또 모세혈관이 많은 신장 같은 기관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혈관을 통과하지 못하는 적혈구의 비율을 조사하면 이들 질환을 사전에 알아차릴 수도 있다는 말이다.고려대 기계공학과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