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올라가면 고무풍선이 부풀듯이 점점 그 부피가 늘어나요. 부피가 커진다는 것은 같은
양
의 공기 알갱이들이 훨씬 넓어진 공간을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하지요. 이렇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게 돼요. 기체 상태인 수증기는 온도가 내려가면 액체 상태인 물방울로 변하고, 온도가 더욱 내려가면 고체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기다리던 나순진
양
은 아까부터 옆에서 재잘대는 연인 때문에 슬슬 짜증이 밀려오고 있다. “오빠~. 나아~. 어제 라면 먹고 자서 얼굴이 부었어~. 2개밖에 안 먹었는데.”“우리 애기 얼굴이 뭐가 붰다 그래~. 얼굴이 이렇게 쪼그만데, 눈코입이 다 있는 거 보면 신기하다니깐~.”“아이잉~. 몰라~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날려 보내는 방식. 이 역시 우주선에 연료통을 달 필요가 없다. 태
양
풍을 쓸 경우 태
양
으로부터 멀어지면 소용이 없다. 레이저 빔의 경우는 막대한 레이저 인프라가 필요하다. 웜홀 빛보다 빠른 우주여행방식. 우주 시공간에 생긴 구멍인 웜홀을 이용함으로써 빛보다 빠른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 중 남자 5명, 여자 2명을 최종 후보로 뽑겠다고 밝혔다. 중국 최초 우주비행사
양
리웨이(楊利偉)도 공군 출신이다. 일본은 2009년 3월 항공자위대 F-15 조종사 유이키미아 중령을 우주실험전문 가로 발탁해 훈련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우주비행사의 신체조건이 일반인과 다른 만큼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축하거나 이완한다. 즉 눈동자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눈 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
을 조절한다. 이때 홍채가 수축하면 눈동자가 커진다.‘도넛’은 뼈에서도 찾을 수 있다. 기다란 척추에서 맨 위에 있는 뼈, 즉 목 바로 뒤에 있는 제1 척추 ‘아틀라스’다. 다른 척추 뼈들은 자기 위에 있는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즉 소나무 등의
양
지식물이 숲을 이뤄요. 시간이 지나면 점차 전나무 등의 음지식물이
양
지식물의 숲을 뚫고 자라기 시작하는데, 숲 전체를 음지식물의 숲이 차지하게 되면 천이가 끝나게 된답니다.콘크리트의 균열콘크리트로 지어진 아파트를 보면 건물 표면에 금이 나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www.geomuseum.org지난 2003년 12월에 남
양
주시 진접읍에 개관되었다. 30여 년간 수집된 많은
양
의 자연사 관련 표본이 지질시대의 시간 순서로 전시되어 있다. 2010년 1월 4일부터 1월 30일까지 ‘과학영재를 위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읽어 보고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포스트잇을 활용해 보충해요.”아무래도 수학은 공부할
양
이 많기 때문에 수학공책은 따로 한 권 더 있대. 가을 학생만의 특이한 공부법이 있냐고 묻자 가을 학생은 인터뷰 내내 함께 했던 엄마의 눈치를 보더니 사실이 공부법 때문에 엄마한테 자주 혼난다고 말해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시간이었지만 한국 수학사에 대해 깊이 있게 설명해 주신 국오현 씨 감사드립니다. 서
양
수학만큼이나 한국의 전통 수학 역시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이바지해 왔군요. 여러분도 우리의 전통 수학에 자부심을 가지고 수학에 흥미를 가져 보시기 바랍니다.*도량형 : 길이를 뜻하는 도, 부피를 ... ...
피자 분할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횟수가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 그리고 홀수에서도 두 가지 경우로 A와 B가 먹는 피자의
양
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하지만 불행히도 이 연구가 실생활에 적용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마브리 교수는 “수학자는 때때로 실용성과 무관하게 재미있는 연구를 하기도 한다”며 연구의 의의를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