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고장 났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균형 현상이다. 하지만 현대 과학은 아직까지 대기권, 해
양
권, 생물권 등 수많은 요소들로 결합된 복잡한 지구를 모두 파악하지 못했다. 원인을 찾는다고 해도 그것이 어떤 결론으로 치달을지 예상하고 대비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북반구를 강타한 이번 폭설과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년)’에서 “조선은 세계 적으로 유명한 모자의 나라”라고 말했 다. 그는 특히 모자의 다
양
함과 그것들 이 계급과 용도, 계절에 따라 세밀하게 나뉘어 있다는 데 감탄했다. 하지만 그 가 좀 더 주의 깊게 모자들을 살펴봤다면 아마 이런 질문을 던졌을 것이다. 조선에서는 왜 겨 울에도 정수리 부분이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임상조건을 그대로 적용하는 건 무리인 경우도 있다”며 “그럼에도 세포를 외부에서 배
양
하 는 과정이나 환자에게 투여됐을 때 일어나는 일들을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 고 있기 때문에 임상시험은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2010년 이미 우리는 돈이 있고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줄기세포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통신위성인 무궁화 1호에도 안전조치가 내려졌다.우 주기상 예보 체계를 갖추게 되면 태
양
풍으로 위성이 사 라지거나 통신 장애가 생기는 문제를 미리 알 수 있다. SLR은 위성에 작은 레이저 반사경을 달아 초속 7km 이 상으로 날아가는 위성을 추적하는 시스템이다. 이들 기술은 우리나라의 우주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해 물 속 염분
양
에 따라 역고드름이 얼마나 만들어지는지를 알아봤다. 그리고 염분의
양
이 적을수록 역고드름이 잘 생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팀이 밝혀낸 두 번째 비밀은 온도다. 조사 결과 역고드름이 가장 잘 만들어지는 온도는 영하 7℃였다. 이 온도에서는 얼음그릇의 중간쯤에서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제논 라이트 2400펠리칸 | 6만 6000원소형 전등으로 상상할 수 없는 1만cd(칸델라, 빛의
양
을 표시하는 단위)의 밝기로 50m 떨어진 곳도 환하게 비춘다. 여기에 물속 20m까지 들어가도 끄떡없는 방수 기능까지 갖췄다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채 머릿속으로만 생각하는 학생은 안되는 이유만 생각하기 때문에 발전할 수 없어요.”
양
교수는 아직도 일이 재밌고 연구가 신난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좋은 결과들이 나오니까 당연한 얘기인지도 모르겠다. 항상 젊은 학생들을 만나다 보니 나이 드는 줄도 모르겠단다. 끈끈한 동료애가 가득한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연구실에서 수행을 하고, 박사과정 이상은 정치학과 법학을 통해 정책적인 소
양
을 쌓는 경우가 많다고.연구원들에게 항시 ‘큰 그림을 그릴 것’을 강조하는 황 교수는 근 40년째 원자력 공학의 한 길을 걸어온 거장이다. 현재 IAEA 파이로 프로세스 전문가회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납 냉각로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통은 동
양
의 근대 수학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맥이 끊겼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동
양
의 근대를 형성할 시기에 서구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전통과 현대 사이에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한국 수학의 전통을 되돌아보고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일은 수학의 균형적이고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즉 소나무 등의
양
지식물이 숲을 이뤄요. 시간이 지나면 점차 전나무 등의 음지식물이
양
지식물의 숲을 뚫고 자라기 시작하는데, 숲 전체를 음지식물의 숲이 차지하게 되면 천이가 끝나게 된답니다.콘크리트의 균열콘크리트로 지어진 아파트를 보면 건물 표면에 금이 나 있는 모습을 종종 볼 수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