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스페셜
"
보고
"(으)로 총 3,9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충분히 만들어져 당도가 높고 향도 강한 것으로 보인다. 정말 그런지 한번 확인해
보고
싶다.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있는 흰손긴팔원숭이. 우리 가까이 가자 다가와 창살에 매달려 필자를 물끄러미 바라
보고
있다. 긴팔원숭이는 유인원임에도 작은 덩치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덜 받는 것 같다. - 강석기 제공 순간 ‘이 녀석을 데리고 가서 키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옛날 중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때문이다. 그러나 괌에 와 차모로 부족에 동화돼 살아온 외부인이 발병한 사례가 여러 건
보고
되자 환경요인으로 관심을 돌렸다. 그 결과 차모로 사람들이 즐겨 먹는 ‘파당’이라는 식재료가 원인으로 떠올랐다. 파당은 괌에 많은 소철의 씨를 갈아 만든 가루다. 소철의 씨에는 독이 있기 때문에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획득한 건 사람뿐이다. 즉 늑대가 개가 돼 인류와 3만 년을 사는 동안 눈빛만
보고
도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는 사이가 됐다지만 여전히 언어능력은 습득하지 못한 건 늑대에겐 그럴 수 있는 하드웨어(몸의 구조)가 없었고 개가 된 이후에도 그걸 갖추게 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보노보가 자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
2018.09.08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할 거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만화 '습지생태
보고
서'에 팔이 잘린 사람은 손목이 잘린 사람의 아픔을 모른다는 말처럼, 어떤 경우는 고생을 해 본 사람들이 더 다른 사람들에게 모진 것 같기도 하다. “나는 그것 때문에 너무나 외롭고 힘들었지만 너는 왜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했다. 과방위 간사인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오전에 언론을 통해 보도된 기사를
보고
자료에 (김명자 회장과 관련해) 잘못된 내용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시 당에 알리고 정정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서 김 회장과 관련한 내용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그 성과가 있기까지 존재했을 노력, 인내, 좌절을 함께 떠올리기보다 그냥 성과만을 바라
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남’이 한 것이라면 더더욱. 내가 잘 한 일은 나의 노력과 재능 덕분(내적 귀인)이지만 타인이 잘 한 일은 단지 ‘운이 좋아서’(외적 귀인)라고 생각하는 경향은 실제로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8.11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돌고래뿐만 아니라 제주도에 많은 제비도 탐사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남방큰돌고래 연구팀과 함께하는 정기강좌는 제주도 현장탐사에 이어 8월 25일 서울 강연으로 이어진다. 대학로 공공일라운지에서 열리는 서울 강연은 무료이며, 어린이과학동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
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20년 전인 1998년 미 국립보건원의 이서구 박사(현 연세대 석좌교수)와 동료들이 처음
보고
했다. 이번 결과는 이 교수의 가설을 입증하는 또 다른 예인 셈이다. TCA 회로의 중간물질로만 알았던 숙신산(succinate)이 갈색지방조직(brown fat)에서 열생성 반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동물실험으로 밝혀졌다.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