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후끈 후끈~!”컴퓨터 난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
008’에서 이렇게 컴퓨터에서 나오는 열을 모아 주택이나 사무실 난방에 이용하는 기술이
발표
되었어요.IBM에서 개발한‘히트싱크’라는 장치는 컴퓨터에서 나오는 열을 물을 이용해 흡수하도록 되어 있어요. 복잡한 그물망이 반도체 표면을 완전히 덮고 있는데, 이 관으로 계속해서 냉각수가 ... ...
'탄소 배출 제로 도시' 생긴다
과학동아
l
200806
원)를 들여 아부다비 인근에 ‘탄소 배출 제로 도시’를 건설하는 ‘마스다르 구상’을
발표
했다고 ‘테크놀로지리뷰’ 5월 8일자 온라인판이 보도했다.도시는 약 7㎢ 넓이로 주민 약 5만 명이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박막 태양전지를 지붕과 벽의 소재로 사용해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06
1901년 독일 의사 G 켈링이 광학렌즈를 부착한 내시경으로 개의 복강을 관찰하여 학회에
발표
했고 10년에는 스웨덴 외과의사 H C 야코베우스가 복수 환자의 진단에 복강경을 사용한 후 점차 임상적으로 보급되었다복강경 검사는 복강경을 복강에 삽입하기 전에 먼저 기복(氣腹)을 한다 계자(界磁)코일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06
상태가 3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파도의 높이가 3m를 넘을 것으로 예상될 때 풍랑주의보를
발표
한다.이번에 보령에서 발생한 사고는 태풍이나 강한 저기압이 만든 풍랑과는 거리가 멀다. 당시 파도의 높이는 0.1~0.2m로 잔잔했고 바람도 초속 0.5~4m로 세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이 이번 사고의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06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무선기술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다만 테슬라처럼 먼 거리를 전송하는 대신 핸드폰, PDA, 노트북 같은 휴대용 기기가 충전될 수 있는 적당한 범위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보내는 것이다.솔야치 교수는 처음에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06
안 의장이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일 법도 하다.이날 안철수 의장은 ‘깜짝
발표
’를 했다. 그가 안철수연구소를 떠나 오는 2학기부터 KAIST 비즈니스 이코노믹스 프로그램에서 교수로 학생들을 만난다는 것. 그는 학부생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가르칠 예정이다. 안철수연구소에서는 이사회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6
따라 분담해야 할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뜻한다.김 박사는 “연구결과를
발표
할 때마다 미래를 점치는 점술가라도 된 기분”이라며 “미래에 닥칠 가능성을 알려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것도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예측한 미래 해양환경은 핑크빛이 아니다.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06
의 내형(內型)과 하악골(下顎骨) · 이 · 사지골(四肢骨)의 연구를 차례로 정리하여
발표
했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는 구내염 단순포진(單純泡疹) · 대상(帶狀)포진 · 구제역(口歸疫) 등의 아프타성(性) 구내염이 대표적이다이 밖에 마진 · 풍진 · 수두 · 헤르팡기나 등에서도 나타난다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06
살고 있는 2300종이 넘는 다양한 생물의 분포지도를 만들어 지난 4월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앞으로 이 지도를 바탕으로 멸종 위기 종을 보호하는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마다가스카르 섬은 살아있는 진화의 실험장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곳이다. 하지만 당장 생계를 잇기 어려운 주민들의 생존권도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
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위해 단백질분해효소 복합체인 프로테아좀을 갖고 있다. 저자들은 “프로테아좀은 잘못 접히거나 손상을 입은 단백질을 찾아내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