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이용하는 조종이 시시하게 느껴졌다. 진짜나는 기분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2년간
개발
에 매달린 끝에 조종기 대신 날개로 하늘을 날 수 있는 버들리를 내놓았다. 그는 “버들리의 3차원 경험은 가난하거나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도 세계 곳곳을 누비도록 만들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웬만한 당원들한테는 전부 접속금지령이 내려져 있다고요.”영희는 마인드넷이 한창
개발
되던 초창기에 접한 적이 있다. 광고문구 검토의뢰를 받아 IT박람회를 돌던 중이었다.그때 시연자가 보여준 마인드넷 접속기는 지금처럼 귀 위에 붙이는 마이크로칩 같은 형태가 아니라 무거운 헬멧을 쓰고 ... ...
[수학뉴스] 내 수학 점수는 아빠 때문?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무리 봐도 아빠랑 똑 닮은 내 얼굴. 혹시 수학 실력도 닮지 않았을까요? 최근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의 수학 능력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성별, 학력 등으로 세분화해서 연구해 가정에서 수학 우등생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
하는 데 힘 쓸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할 ‘종이 배터리’를
개발
했다고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이 배터리가 되는 것이다. 종이 배터리는 여러 번 굽히고, 심지어는 구겨도 성능이 그대로다. 유연하고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이 가능해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위상적인 성질을 연구하면 이런상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나아가 양자컴퓨터가
개발
됐을 때, 변형해도 바뀌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면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지난 30년간 이뤄온 연구가 바꿀 미래가 앞으로 더 기대된다. 홀데인 교수는?홀데인 교수의 제자인 박예제 KAIST 물리학과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3배나 좋다고 발표했어요. 이 에어백 안전모는 스웨덴의 디자인회사 회브딩이 2013년
개발
한 것으로, 사고가 나면 에어백이 머리에서 목까지 감싸 뇌 손상은 물론 목 부상도 줄일 수 있어요.우리나라는 13세 이하 어린이에게만 안전모 착용을 필수로 하고 있어요. 하지만 중·고등학생도 자전거를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이디어로 후에 네트워크가 가능한 오디오 ‘파이오(piAU)’를 만든다.자신을 ‘게으른
개발
자’라고 부르는 박 대표는 시장에 나와 있는 것은 최대한 활용하자는 주의였다. 그리고 원래 있는 것을 최대한 활용해 전에 없던 것을 만들려고 시도한다. 2013년 당시 코딩 교육에 관심이 없던 한국에서 ... ...
[Editor’s Note] 화성 몽상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필자들을 직접 만나보시라.이영혜 기자는 두 주 동안 유럽을 누비며 드론을 연구하고
개발
하는 최전선을 취재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두 호에 걸쳐서 놀랍고 생생한 세계를 보여줄 예정이다. 지난 달 커버스토리였던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가 많은 과학자, 공학자에게 호평 받았다. ... ...
[과학뉴스]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잔해조차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
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셀룰로스로 마술사가 불을 붙였을 때 재를 남기지 않고 감쪽같이 사라져버리는 마술종이의 재료다. 최 교수팀은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전보다 효과가 뛰어난 신약을 만들거나, 생체를 훨씬 정교하게 모방하는 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살아 있는 세포 속에서 단백질 같은 생체분자가 움직이는 모습을 순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매와 당뇨 같은 난치성 질환이 일어나는 기작을 밝힐 수도 있다.미래창조과학부와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