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떼려고 하는 행동은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거울에 비친 존재가 자신임을 알아보고 부리 아래에 스티커가 붙어 있다는 것을 인식한 경우다. 두 번째는 스티커가 붙은 부분의 깃털이 뭉쳐 있어 불편한 경우다.두 경우를 구별하기 위해 연구진은 눈에 띄는 색과 띄지 않는 색으로 각각 ... ...
- 세상에서 가장 독특하고 재밌는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과정을 낱낱이 공개했어. 완성된 만화만 보던 친구들은 연필로 그린 스케치를 보고 감탄사를 연발했지. 또 만화를 보더라도 부모님이 좋아하는 비법도 전수했어. 숨어서 보지 말고 거실 같이 부모님이 잘 볼 수 있는 곳에서만 보고, 궁금한 것은 묻고, 알게 된 내용은 자꾸 말하는 거야. 은하수 ... ...
- 정보의 원유,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어딜 잘못 들어간 모양이에요. 이건 뭐 아무리 뒤지고 찾아도 끝이 없어~! 이젠 내가 뭘 보고 있는 건지, 이 정보를 뇌가 제대로 처리하는 건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네요. 역시 늙은 건가….아냐. 내가 잘못한 건 없어. 문제는 이 무한한 데이터야. 많아도 너무 많잖아~!많은 게 당연하죠. ‘빅데이터(big ...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02호
- 1974년에 이집트를 방문했을 때, 이미 2000년 전에 파괴된 고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보고 싶다는 말을 한다. 터무니없는 말 실수였지만, 이로 인해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대학교를 시작으로 이집트 정부와 유네스코, 인근 아랍 국가와 선진국들까지 나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재건 프로젝트에 ... ...
- [스팀인터뷰] 금속 공예가, 수학에 푹 빠지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이 모습을 보시더니 출석을 인정해 줄 테니 앞으로 한 달간 식물원에 가서 직접 꽃을 보고 스케치해 오라고 하셨어요. 식물원에 가서 꽃을 직접 관찰하고 스케치를 하다 보니, 식물원에 근무하는 연구자 분께서 제게 관심을 갖고 말을 걸더라고요. 그리고 식물원 내 도서관에 초대해 아주 오래된 꽃 ... ...
- [퍼즐 해결사] 은행 금고 도난 사건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은행 금고 안에서 한 송이 장미꽃과 함께 발견된 K의 쪽지. 이번에도 암호다. ‘JXJMMCFCBDL’. K가 남긴 이 암호는 무슨 뜻일까.3시간 전, 소마의 첫 출 ... 쓰여 있어요. 또 암호네요.”‘J.X.J.M.M.C.F.C.B.D.L라….’ 소마가 한참 동안 암호를 보고 있었다.“앗! 반장님, K가 남긴 암호의 뜻을 알겠어요 ...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의해 운명이 정해진다는 말은 도무지 믿을 수가 없습니다. 아이의 재능이나 성격을 보고 앞날을 예측해도 안 맞는 경우가 부지기수일 텐데, 사람이 태어난 시점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사주는 통계다?그런데 요즘에는 사주나 토정비결, 운세 보기가 통계와 확률이라는 말이 종종 들립니다. 심지어는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되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단다.유전물질인 DNA의 구조도 X선으로 찍은 후 나온 회절 무늬를 보고 이중나선 구조라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지. 이제는 단백질 수십 개가 결합한 아주 복잡한 단백질인 리보솜의 구조도 X선 결정학으로 밝혀낼 정도란다.이처럼 물리학의 영역이었던 X선 결정학이 ... ...
- 두 얼굴의 양자역학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데 사용하고 있을 컴퓨터나 스마트폰부터 버리고 시작해야 한다. 과학동아를 종이책으로 보고 있다고 좋아할 독자들은 형광등을 끄시기 바란다. TV를 포함한 거의 모든 전자장치를 버릴 차례인데 벌써 포기하시다니. 화학, 생물 쪽은 아직 시작도 안했다.양자역학은 원자를 기술하는 학문이다. ...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같은 물질이 대량생산되지 않는다. 유럽우주기구(ESA)는 2007년 국제우주대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사람에게도 겨울잠 능력이 있지만 겨울잠 유도물질을 만드는 유전자 발현만 억제된(block) 상태”라고 밝혔다.도대체 누가 겨울잠 플러그를 뽑은 걸까. 이를 알기 위해선 왜 겨울잠 능력이 포유류에게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