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산소와 질소, 이산화탄소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였어요.감압챔버는 바닷속에서 더 이상 잠수를 하기 어려운 위급한 상황에 잠수사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돼요. 일단 바닷속과 같은 압력의 환경을 만든 뒤, 서서히 압력을 낮춰 질소기체가 안전하게 몸에서 빠져나가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거예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양성자 치료 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소아암 환자에게 많이 쓰여요. 한창 성장 중인 어린이 뼈에 방사선을 쪼일 경우 더 이상 자라지 않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거든요. 따라서 최대한 정상적인 세포와 뼈에 방사선이 닿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양성자 치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답니다.”*양성자선 : 양성자를 가속시켜 만든 에너지. ... ...
- [헷갈린 과학] 가재 VS 랍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염색체의 끝부분에 있는 ‘텔로미어’에 의해 결정돼요. 텔로미어가 손상되면 세포가 더 이상 나뉘지 않고 그 능력을 잃게 돼요. 이렇게 몸을 구성하는 세포가 망가지면 결국 노화와 죽음이 닥치게 되지요.그런데 독일 키엘대학교의 병리학 및 응용암연구센터의 연구 결과, 랍스터는 텔로미어의 ... ...
- [도전! 코드마스터] 하노이의 탑을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되겠죠? 답은 1844경 6744조 737억 955만 1615번이랍니다. 1초에 하나씩 옮긴다 해도 5800억 년 이상이 걸리지요. 세상 멸망은 아직 한참 남았으니 다들 안심하세요 ... ...
- [특별 인터뷰] 배윤혁 어벤저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춘천, 서천, 불암산, 진천, 파주, 을왕리 등을 밤낮없이 다녔어요. 무려 일주일에 5회 이상 탐사를 다녔다고 해요. “종종 지사탐 대원들을 제 탐사에 초대하곤 하는데, 야간 탐사에도 슬리퍼를 신고 나온 모습을 보고 걱정하시더라고요. 물론 위험할 때도 있어요. 혼자 탐사를 다니다가 개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산도’를 알 수 있어요. 산도의 단위는 pH(페하)인데, 중성은 pH7이고 그 이하는 산성, 그 이상은 염기성이랍니다.융합 개념 파헤치기소행성 충돌로 산성비가 내린다?중성을 띠는 물과 달리 모든 비는 산성이에요. 공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는 물에 녹아 ‘탄산’을 만들어요. 따라서 보통 내리는 ... ...
- Part 5. 자동차, 자연으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연구를 성공시켰답니다. 탄소섬유는 강철에 비해 5분의 1 정도로 가볍고 강도는 10배 이상 강한 재료지요. 이 탄소섬유의 재료는 나무에서 얻어지는 ‘리그닌’이에요. 나무의 줄기 속에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들이 모인 ‘목질부’가 있어요. 리그닌은 목질부를 구성하는 물질 중 하나랍니다. 63.4%의 ... ...
- Part 1. 친환경 건축 재료, 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높이 300m에 이르는 80층짜리 주거용 건축물로, 우리나라 여의도에 있는 ‘63빌딩’보다 50m 이상 더 높은 엄청난 높이지요.이 건축물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깜짝 놀랐어요. 런던에서 두 번째로 높은 어마어마한 건물 높이에 놀랐고, 이 건물의 주요 재료가 ‘나무’라는 사실에 또 한번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수 있답니다.“다 만들었어요! 그런데 불이 안 켜져요.”몇몇 친구들이 만든 전기 회로는 이상하게 제대로 불이 안 들어오거나 소리가 나지 않았어요. 무엇이 문제였을까요?대부분은 회로를 완전히 닫지 않았던 것이 문제였어요. 회로를 닫는다는 건 전류가 끊기지 않고 계속해서 흐르도록 만드는 걸 ...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많이 생겨 방향이 다시 동쪽으로 바뀌지요.하지만 다 자라서 꽃이 활짝 핀 해바라기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동쪽만을 향하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그 이유가 최대한 많은 햇빛을 받아 꽃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어요. 꽃의 온도가 높으면 벌과 나비 같은 곤충들이 많이 찾아와 결국 ... ...
이전3283293303313323333343353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