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2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밝혔다. 연구 성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동물실험에서 siRNA를 이용한 치료제를 투입한 뒤 암세포 크기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고백에 성공하려면, 일단 배불리 먹이세요
2015.08.17
위키미디어 제공 고백을 앞둔 남성이라면 그녀와 함께 맛있는 저녁을 먹은 후 사랑고백을 하는 편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구진이 여성은 배가 부른 상태에서 로 ... 민감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애피타이트(Appetite)’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부작용 없는 당뇨병 치료물질 찾았다
2015.08.16
포스텍 제공 한국과 스웨덴 공동 연구진이 새로운 혈당 조절 물질을 개발했다. 인슐린보다 안전하고 효과도 뛰어나 차세대 당뇨치료제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류성호 포스 ... 핵산 분야 국제학술지 ‘뉴클레익 액시드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 8월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국내연구진이 이차전지의 충전속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배터리에 비해 충, 방전 속도가 최대 100배 이상 빠를 것으로 보여 전기자 ...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나노스케일’ 7월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이별 후 상처, 여성이 더 크지만 회복도 빨라
2015.08.12
Flickr 제공 사랑하던 사람과 헤어지면 한동안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후유증에 빠진다. 미국 연구진이 이런 ‘이별 후유증’이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진화행동과학(Evolutionary Behavior Sciences)’ 7월 13일자에
게재
됐다. ... ...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DNA가 손상되면 p53 단백질이 HAUSP 단백질과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뉴클레오린이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 차의과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DNA가 손상됐을 때 암세포가 사멸에 이르게 하 ...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온라인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4일자에
게재
됐다.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 7월 10일자에
게재
됐다. 연구팀은 시냅스 소낭과 신경세포 막이 비눗방울 두개가 합쳐지듯 융합해 '막융합'을 형성하고, 이때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IBS 제공 ... ...
“신앙심 깊은 사람이 더 건강하다”
2015.08.11
더 안정적으로 생활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암(Cancer)’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했다. 많은 암 환자들이 종교를 통해 마음의 평안을 경험하지만 실제로 신체와 정신적인 건강 상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된 것이 많지 않았다. 히더 짐 박사 연구진은 ... ...
남극물범 어미는 냄새로 제 아들 알아본다
2015.08.11
있어 이로 서로를 알아본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 자에
게재
했다. 연구팀은 남극 킹조지섬에서 서로 다른 두 지역에 사는 41 가구의 남극물범 가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남극물범 사이의 유전적 유사도와 함께 각 물범에서 피부에서 나는 냄새의 성분을 분석한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9일자에
게재
됐다.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시뮬레이션한 얼음 생성 과정. 얼음은 육면체 형태(파란색)와 육각형 형태(빨간색)의 분자가 함께 결합된 상태다. - 프리스턴대 제공 ... ...
이전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