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과학동아 l2002년 07호
- 과 1로 모든 신호를 표현그렇다면 디지털캠코더와 기존의 캠코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존 캠코더에 적용된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파동 형태로 화면을 표현한다. 반면 디지털캠코더에서는 모든 화면을 표시할 때 0과 1이라는 디지털 신호가 사용된다.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02년 07호
- 겨우 15년 정도밖에 안된 신생분야다. 아직은 이렇다할 성과물이 별로 없는데다, 기존의 프로그램으로도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진화 알고리즘의 원리대로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을 통해 탄생한 인공생명이 세상을 지배할 날도 머지 않은 ... ...
- 질문에 즉각 답해주는 인터넷 두뇌과학동아 l2002년 07호
- e메일 질문에 즉각적인 답장을 보내주고, 웹사이트 서핑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사용자의 질문을 관리자가 직접 확인한 후 답장했지만, 메타팩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는 말이다. 시스템 개발자인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데빈 얍 박사는 “메타팩은 사용자가 ...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과학동아 l2002년 07호
- KIST)의 서상희 박사는 나노소재의 환경친화성을 강조했다. 나노소재가 적은 양으로도 기존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원재료가 적게 들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나노소재로 자동차를 만들면, 자동차 무게가 줄어 연비가 높아지고 결국 에너지가 절약되고 공해가 ... ...
-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로이렉스의 삼각형을 이용해서 만든 사각 드릴이다. 이처럼 새로운 시도는 늘 그렇듯이 기존의 관념을 깨는데서 출발한다.이 드릴의 또다른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 바로 회전축이 고정돼 있지 않다는 사실에 있다. 만약 회전축이 고정돼 있다면 당연히 로이렉스 삼각형이 회전해서 얻을 수 있는 ...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지름은 15nm로, 이전 방법의 1백70μm와는 비교도 안된다. AFM을 이용한 바이오칩은 집적도가 기존보다 1억배 증가한 셈이다. 이 반응 결과도 AFM으로 읽을 수 있어 분석하고자 하는 샘플에 염색할 필요가 없다. 이같은 방법을 나노펜 기술이라고 하는데, 이 연구의 개발자는 나노펜 기술을 상업화하기 ...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많이 포함된 인듐-갈륨-질소(InGaN)를 사용하고 있다.전원 표시에서 교통 신호등까지LED는 기존 백열전구에 비해 효율성이 높다. 또 전력 소모가 1/12 정도로 매우 적으며, 수명은 1백배 이상으로 길고, 전기에 대한 반응 속도는 1천배 정도 빠르다. 백열전구는 필라멘트에 전류를 흘려 필라멘트에서 ...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인공생명 연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다. 생명체, 특히 인간의 지능을 닮으려는 기존의 인공지능 연구와 대비되는 부분이다. 퍼지이론이나 카오스이론으로 대표되는 인공지능 기술은 하향식 설계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근본적으로 환경에 대한 ...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과학동아 l2002년 07호
- ‘교과서에 의하면’‘선배들의 선례에 의하면’이라는 말 한마디에 참신한 아이디어는 기존의 규범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변형되거나, 그렇지 못하면 폐기됐다. 최교수는 학창시절부터 이점이 무척 안타까웠다고 말한다.“기성세대의 눈으로 자라는 후학들의 ‘재능’을 재단해서는 안됩니다. ...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확인할 수 있다. 나노입자로 된 자외선 차단제는 입자가 너무 작아 눈에 보이지 않아, 기존 제품을 발랐을 때처럼 얼굴이 번질거리면서 희뿌옇게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자외선 차단능력도 더 높다. 수십nm의 산화아연 나노입자가 주로 쓰이는데, 이 입자는 자외선을 잘 흡수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