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어떻게든 도달하고 나면, 각 경기자는 혼자서 일탈을 시도해봤자 자기만 손해다. 결국 모두 자기 전략을 고수하므로 내쉬 균형이 계속 유지된다. 예를 들어, 대학생 철이와 준이가 이번 주말에 홍대에서 만날지 강남역에서 만날지 실랑이한다고 하자. 만약 둘 다 홍대를 택했다면, 이 조합은 내쉬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앞서 말한 입자가 확률적으로 세 곳에 있는게 아니라 책상 위, 책상 아래, 천장 모두에 있다는 것이다. 방 문을 연 순간 세 가지 우주로 세계가 갈라지고, 우리는 그중 하나를 보게 된다. 즉 어떤 판단을 할 때마다 우주는 수없이 갈라지며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이 해석에 따르면 우주는 지금 이 ...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컴퓨터는 그렇지 않아서 가르쳐야 합니다. 만약 100명의 표정 정보를 이용한다면 그들 모두에게 무표정과 7가지 기본 표정을 짓도록 해 사진을 찍은 뒤 학습 자료로 사용합니다. 총 800장의 사진을 그대로 컴퓨터에게 입력하기에는 불필요한 정보가 많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얼굴의 주요 ...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를 모아 수열 사전을 만들기도 했어요. 단순히 재미로 한다고 하지만, 이런 활동이 모두 정수의 성질을 밝히는 활동이니 나름의 새로운 규칙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거예요. 혹시 알아요? 나중에 엄청난 연구로 이어질 수도 있어요. MC 유: 박사님들 말씀을 들으니 주변에 있는 숫자가 전부 수학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잡아 먹어요. 1구역에는 세로로 페그 3개가 있어요. 이 페그들은 가운데 구멍을 이용해 모두 잡아먹을 수 있어요. 2구역도 페그 3개가 있고, 1구역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없앨 수 있어요. 이처럼 6개의 구역에 있는 페그를 작은 수 구역부터 차례로 없애면 페그 2개가 그림과 같이 남고, 파란색 페그를 ... ...
- [과학뉴스] 수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마음을 덜컹거리게 했습니다.하지만 다행히도 수박에서 갈고리 패턴이 보인다고 모두 다 감염된 수박은 아닙니다. 그 패턴은 ‘태좌(밑씨가 붙어있는 자리)’로, 건강한 수박에서도 나타납니다. 다만 병에 감염된 수박은 갈고리의 모양이 유난히 눈에 띄는데요. 그 이유는 병의 원인인 ... ...
- [과학뉴스] 식물과 두뇌의 성장이 유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뉴런과 식물의 가지가 이처럼 유사한 수학 규칙을 따라 자라는 이유는 뉴런과 식물 모두 가지가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가능한 큰 공간을 덮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다른 식물도 이 규칙에 따라 성장하는지, 식물과 뉴런이 이와 같은 수학적 규칙에 따라 자라는 분자 수준의 원리는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이용해 폐기물을 처분한다(동굴처분 방식). 사실 동굴처분 방식과 표층처분 방식을 모두 지을 수 있었지만, 현재단계에서는 저준위 폐기물이라 할지라도 훨씬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 동굴처분 방식을 택했다. 현재는 해체 시에 발생하는 대량의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는 단순 매립형 처분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입니다.726개 중 10개). 분화된 체세포라도 수정란처럼 개체 발달에 필요한 유전자를 모두 갖고 있지만, 실제로 다른 종류의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확률은 아주 작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분화라는 과정은 되돌리기 아주 어렵습니다. 사실 분화된 체세포가 너무 쉽게 다른 세포로 변할 수 있다면 ...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쿠마운대 등과 함께 히말라야 산맥의 생물 다양성을 조사한 연구였습니다. 모두가 기후변화로 인해 수목한계선이 과거보다 더 높아졌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의외로 변화가 없었습니다. 나무들의 생존 확률이 낮아진 것인지,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생존 전략을 찾은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