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조류 인플루엔자(AI), 에이즈(AIDS), 간염, 홍역, 소아마비, 광견병. 모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이다. 해마다 수많은 생명을 빼앗아가는 원흉이자 라틴어 ... 유전자를 복제할 단백질도 없어 숙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에서 단백질을 뽑아 쓰는
셈
이니 그야말로 ‘벼룩의 간을 내 먹기’다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떠올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 파일이 뇌에서 그림이나 동영상 파일로 전환되는
셈
이다.‘개굴개굴’이라는 단어를 보면 연못가에서 시끄럽게 울어대는 개구리가 머릿속에 하나의 장면처럼 떠오르고, ‘아장아장’이라는 단어를 보면 막 걷기 시작한 아기가 종종걸음으로 방 안을 돌아다니는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 자신을 채찍질했다”고 박 원장은 말했다. 이 책이 그의 인생에서 나침반 역할을 했던
셈
이다.천문학 향한 외길 수순그는 한국인 블랙홀 박사 1호다. 미국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블랙홀 모델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블랙홀은 빛조차 꿀꺽 삼키는 특이한 천체다. 언제부턴가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바다로 미끄러뜨리는 것이다. 이때부터 비로소 바다에 떠있는 배의 역할을 하게 되는
셈
이다. 배를 실제로 작동해보며 장비들에 대한 시험조정과 시험항해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 주인에게 인도하면 배 건조작업은 끝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쇄빙선이 극지해역을 항해하기 위해서는 항해지역의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사금 채취에 비유하자면 미국이 강에서 큰 채로 떠올릴 때 한국은 멀리서 보고만 있는
셈
이었죠. 아예 근처에도 접근하지 못하게 했어요. 그래도 3년 동안 계속 부탁해서 1주일 정도 허락을 받고 사금을 채취했는데 그만 금도 아닌 다이아몬드를 건진 겁니다. 그것도 미국에서 금이 아니라고 버린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설레기까지 해. 너랑 많은 얘기를 하고 싶어.나에게는 한꺼번에 두 명의 친구가 생긴
셈
이야. 진짜 다영이랑 다영이 아바타. 두 명 모두와 친하게 지내고 싶어. 좀 쑥스럽긴 해. 항상 네가 먼저 손을 내밀었는데 내가 머뭇거리며 제대로 잡아 주지 않았잖아.나도 진진이처럼 진짜 장미꽃을 가져갈까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한국의 극지연구팀이 18년간 극지 연구에서 보여 온 열정이 비로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셈
이다.극지 연구 과정에서 예상외의 수확도 얻었다. 1992년 1월 김 소장의 연구팀은 세종기지가 위치한 남극 주변 해저에서 국내 연간 천연가스 소비량의 300배에 달하는 가스수화물층을 발견했다.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지으려 하고 있다면 수동 입력 세션은 불도저로 불도저에 걸맞는 집을 짓고 있는
셈
이다. 알아서 줄어들고 차가워지고귀에 이어폰을 꽂고 음악을 크게 듣고 거리를 다니는 것은 귀에 나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때로는 매우 위험하기까지 하다. 음악 소리가 커서 옆에서 경적을 울리며 달려오는 차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못한 부적응자’ 정도로 인식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셈
이다.금융권 임원들 중에도 이공계 출신이 꽤 눈에 띈다. 제일은행 현재명 부행장(서울대 응용수학과)과 로버트 코헨 전 제일은행장(프랑스 에콜 이학 석사), 리처드 웨커 전 외환은행장(미주리공대) 등도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붙여 Z형을 만들었다. 불안정해 금방 변하기 쉬운 Z형을 ‘단백질 본드’로 고정시킨
셈
이다. 다른 쪽 DNA는 Z형을 만들지 못하는 염기서열로 만들어 자연스럽게 B형이 되게 했다. 즉 자연스럽게 B-Z 결합부위가 생기도록 DNA를 디자인한 것이다. 포항 방사광가속기와 일본 스프링8 방사광가속기를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