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세상"(으)로 총 3,5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큐아리움 취재를 갖다오다! 2014.3.22 _ 판교 아이큐아리움을 다녀오다.기사 l20140322
- 알고 계시지요? 그 개복치도 디지털로 만나볼 수가 있었습니다. 큰 상어나 거대 게 등 실제로 만날 수가 없는 바다생물들도 디지털 세상에서는 만나볼 수가 있는 신비로움도 실감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여러 가지 활동을 하다보면 왜 '디지털을 이용해 수족관을 만들게 되었는가?' 그 이유가 궁금해지기 시작합니다. 박한진 매니저님께서 설명을 해 ...
- 꼭 밤하늘을 수놓은 별같죠? 하늘에 이렇게 별이 있다면 세상은 얼마나 행복하고 순수할까요?포스팅 l20140322
- 꼭 밤하늘을 수놓은 별같죠? 하늘에 이렇게 별이 있다면 세상은 얼마나 행복하고 순수할까요? 왠지 외롭고 시골로 가고싶은 밤이네요... ...
- 학교 도서실의 애용자가 되어보세요. 책벌레가 드리는 작은 팁기사 l20140321
- 보니, 도서실에 책이 더 많다는 것을 알게되었어요. 사서 선생님에게 읽고 싶은 책을 신청하면 바로바로 구입해서 준다는 말을 듣고, 세상에서 가장 친하고 믿을 사람은 학교의 사서 선생님이 되었지요. 1학년때 부터 학교수업 끝나면 바로 가는 곳은 바로 학교 도서실이 되었어요. 엄마의 배려 덕분에 학원은 다니지 않아도 되었고, 제가 원하는 책은 뭐 ...
- 고래에 대하여 고래는 바다에 살고, 포유류이며 허파로 숨을 쉬는 동물이다. 주로 크릴 새포스팅 l20140320
- 낳기 때문에 포유류 동물로 분류가 됩니다. 그런데 요즈음 고래는 사람들이 불법으로 잡아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에서 제일 큰 고래는 흰긴수염고래입니다.흰긴수염고래는 최고 길이 33m, 수명은 약 100년 입니다. 그리고 분기(숨을 내쉬는 것)의 높이는 약10~15m에 이릅니다. 그리고 가장 작은 고래는 밍크고래인데 몸길이는 ...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연구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답니다. 예를 들면 윤어떤놈, 박착한놈, 이작은놈, 김큰놈 같은 이름들이 있었습니다. 아마 거중기가 세상에 없었다면 우리의 멋진 문화재인 수원화성을 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백성들을 사랑하고 정치를 열심히 하신 정조임금님께 감사드리며, 저도 정약용선생님처럼 열심히 노력해서 나의 목표를 꼭 달성하겠습니다. 첨부파일에 ...
- 드디어 늘푸른 세상이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포스팅 l20140307
- 드디어 늘푸른 세상이 만들어졌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뿌리와 새싹을 아시나요? 제인 구달 박사님 재단을 소개합니다기사 l20140307
- 저는 유치원 놀이터 벽에 분필로 어마어마하게 큰 상어와 호랑이를 낙서하듯 여기저기에 그려보며 어릴때 부터 동물을 좋아했습니다. 책도 동물책만 읽었는데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이 제인 구달 박사님 위인전기였습니다. 그 책을 읽으며 동물을 사랑하고 ... 알기 위해 노력하고 사랑한다고 표현해 주세요. 우리 모두가 공생하고 서로 이해하는 세상이야말로 ...
- 불국사 다녀옴 사진이 많이 안올라가네요 먼저 청운교와 백운교! 계단을 다리라고 하는 이유는포스팅 l20140228
- 다녀옴 사진이 많이 안올라가네요 먼저 청운교와 백운교! 계단을 다리라고 하는 이유는 부처님이 세상을 건넌다는 뜻이다. 우리는 후문부터 정문으로 나옴ㅋ 뭐 박물관 가면 다알수있지만.... 다보탑은 그림자가 없어서 '무영탑'이라고 한다 석가탑은 공사중이라 복제만.... 박물관에서는 신석기시대에 믿을수 없을정도로 돌칼을...... 신라시대엔 금부터 ...
- 발명왕이 되고싶니? 나는 불편하면 즐거워~!기사 l20140227
- 자신의 주위를 살피고 무엇이 불편하면 참지 말고...더 편한 세상을 위해고민하고 물고 늘어져봐....이세상은 좀 더 편하고 나은 세상으로 바뀔거야.이번에는 좀 더 열심히해서 전국대회에 나가서 '대통령상'을 타서 어과동 친구들에게 짠하고 보여주면 좋겠어. 모두들 나를 위해 기도해 줄거지 ... ...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체험을 마치고 내게 또 하나의 도전기사 l20140227
- 여러가지 별자리와 별을 배웠는데요, 겨울철 6개의 밝은 별을 연결하면 생기는 다이아몬드 보다 갖기 어려운 다이아몬드는 세상에 더 없을 거라 생각하며 웃었어요.. 우리 아버지도 천문학과를 나오셨는데, 아버지께 여쭈어 보지 못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천문대장님께 들었어요. 질문을 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하자 왠지 물어보는 게 좋을거 같단 생각에 ...
이전3293303313323333343353363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