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칼리지
대학
전문대
대학교
유니버시티
단과대학
뉴스
"
전문대학
"(으)로 총 3,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대 IT 전문가 학술단체 회장에 한국인 교수 선임
2015.06.30
국내 과학자가 세계 최대 규모 정보시스템 전문가 모임의 회장으로 선출됐다. KAIST는 이재규 경영대학 석좌교수(사진)가 1일 세계정보시스템학회(AIS) 학회장에 취임한다고 밝혔다. AIS는 90여 개국 4000여 명의 정보시스템 연구자들이 참가하는 정보시스템·경영정보학 분야 학술단체다. 이 교수의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지잉~, 지잉~.’ 영화 속에서나 듣던 요란한 모터소리가 관객석까지 들려왔다. 머리에 붙은 레이저 스캐너로 계단의 높이와 경사도를 가늠하던 로봇 ‘휴보(HUBO)’는 결심이나 한 듯 계단을 하나씩 밟고 오르기 시작했다. 관객들은 ‘Amazing(놀랍다)’이란 감탄사를 연발했다. 마침내 계단 정상까 ... ...
탐사기록 5000개가 우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햇볕은 쨍쨍, 모래알은 반짝! 어느새 여름이 왔어요. 지구사랑탐사대의 활동도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지요. 수원청개구리 탐사는 아쉽게도 곧 끝을 맺지만, 여름부터 매미와 노래곤충 탐사가 시작될 거예요. 밀원식물과 귀화식물은 11월까지 주~욱 이어지고요. 우리 친구들이 얼마나 열심히 활동하고 ... ...
서울대 우주
전문대학
원 생긴다
2015.06.29
16개 신규과제를 선정하고 57억 원을 지원한다. 우주교육시스템 분야에서는 서울대에 우주
전문대학
원 과정을 신설해 매년 석·박사 수준의 인력을 20명 이상 배출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전까지 우주관련 전공자가 국내에서 제대로 배출되지 않았다”면서 “우주산업 전공자 인력을 양성해 ... ...
암 치료 효능 8배 올리는 데 성공
2015.06.26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임용택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팀과 박영민 건국대 의학
전문대학
원 면역학교실 교수팀은 공동으로 고분자 물질인 히알루론산과 폴리엘라이신을 면역증강 물질(CpG ODN)에 붙여 복합체를 만들었다. 이 면역증강 물질은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 등 면역세포를 ... ...
“감염 발생 즉시 병원名 공개… 환자거주 洞까지 밝혀야”
동아일보
l
2015.06.22
감염내과 교수 △박성학 가톨릭대 호흡기내과 명예교수 △배종면 제주대 의학
전문대학
원 교수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백혜진 한양대 광고홍보학부 교수(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장) △서동우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학 교수 △성백린 연세대 ... ...
감염우려 못씻는 간이 음압병실
동아일보
l
2015.06.22
[동아일보] [메르스 어디까지]일반병실에 이동형 장비 설치 공기유출 막을 이중문 공간 없어… 임시로 쓰지만 시설보완 시급 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과 다른 환자의 감염을 막기 위해 음압병실이 운영되고 있지만 시설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 ... ...
잠복기 6월 넷째주 대부분 끝나… 강동경희대 투석환자 집중관리
동아일보
l
2015.06.22
[동아일보] [메르스 어디까지]메르스 굴레 언제 벗어날까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대유행의 큰 불이 잡히면서 잔불을 언제쯤 완전히 끌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른바 언제 메르스 종식을 선언할 수 있느냐는 것. 돌발 변수가 없다고 가정하면 7월 이후에는 산발적 신규 환자가 더는 발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 반복해”
2015.06.21
시행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로렌스 고스틴 미국 조지타운대 법학
전문대학
원 공중보건법 교수는 다니엘 루시 미국 조지타운의대 미생물 및 면역학 교수와 공동으로 미국의사협회 학술지 ‘자마(JAMA)’를 통해 “메르스 바이러스의 관리를 위해 보건전문가의 책임 하에 ... ...
노래하는 과학자의 달콤한 단백질 이야기
2015.06.21
해나무 제공 ■ 달콤한 생명과학 (조진원 著, 해나무 刊) ‘노래하는 과학자’ 조진원 연세대 교수가 이번에는 자신의 연구 분야인 단백질 이야기를 소개하는 책을 출간했다. 조 교수는 1980년대 초 ‘연’과 ‘사랑하는 사람아’ 등의 히트곡을 내며 가수와 라디오DJ로 활발하게 활동했던 가수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