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5,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액션코딩 아이팝콘’ 학교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만큼 시행착오도 겪고 있다. 메이커 활동에 관심이 많았던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의
차이
가 크다. 아이팝콘 수업에서도 코딩을 좋아하는 학생은 10줄이 넘는 블록을 쌓으며 복잡한 프로그램을 짰지만 처음 접하는 학생은 소리를 내는 것도 어려워했다. 황 교사는 “메이커 활동을 좋아하지 ... ...
북한 과학논문 실적 좋아진 거 맞나...깜깜이 논란에 답답한 연구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논문 106편을 발표했다고 조사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이
가 난다. 이에 최현규 KISTI 정책기획본부장은 “웹오브사이언스나 스코푸스 둘 다 DB를 만들 때 남북한 고려가 안 돼 있어 데이터 중 소속 등에 오류가 많고 검색이 어렵다”며 반박했다. -사진 제공 ... ...
현대과학이 ‘프랑켄슈타인’ 다시 만든다면… 꽃미남?
동아사이언스
l
2018.06.01
30일자에 발표됐다. 영화 '프랑켄슈타인'의 거인(괴물). “허여멀건 눈구멍과 별로 색깔
차이
가 없는 희번덕거리는 두 눈.”(1권 4장) 소설에서 거인의 눈은 탁한 괴물의 눈처럼 묘사된다. 하지만 현실에서 개발 중인 인공 눈은 시각장애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박병호 ... ...
알프스산에서 2억 4000만년전 도마뱀 조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1
Davide Bonadonna 제공 도마뱀이나 이구아나처럼 두개골에 2개의 구멍이 있는 이궁류 파충류의 진화 계통도에는 문제가 한 가지 있었다. 이들 이궁류 ... 이궁류 파충류의 화석”이라며 “특히 비늘이 있는 인룡류 파충류와 다른 파충류의 진화
차이
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사진관] BEAAMMMMM !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단차로 각각의 단차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이다. 가장 낮은 곳과 가장 높은 곳의 높이
차이
는 800나노미터(㎚)로 파장의 길이와 같다. 레이저가 반사될 때 각 층의 반사 거리가 특정값을 갖고 있어 레이저는 가운데가 뻥 뚫려있는 도넛 모양의 빛을 만든다. 도넛 모양의 강한 레이저 빔을 물질에 쏘면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활성화됐고, 식물은 냉해에 견딜 수 있는 상태가 됐다. 평상시(22도씨)에는 생존률에
차이
가 없으나, 추워지면 호스15(HOS15) 단백질을 가지고 있지 않는 돌연변이체의 생존률은 급격히 떨어진다. -사진 제공 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미국 퍼듀대의 식물 실험시설에서 모델 식물인 애기장대로 이 ... ...
도로 위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시뮬레이터로 배출량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9㎍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 비산먼지가 섞인 기존 방식의 측정 값과 10배 이상
차이
가 났다. 순수하게 타이어 마모에 의한 미세먼지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시뮬레이터는 향후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 측정 기준을 확립하고, 배출계수와 타이어 제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심리적 스트레스 수치가 높을 것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심리적 측면에서 두 그룹 사이에
차이
가 없었다. 미국 컬럼비아대 면역학자 아르민 알레디니 교수는 셀리악병이 아니면서도 글루텐에 민감하다고 주장하는 환자 80명의 혈액을 조사한 결과 이들 대다수가 정말 글루텐에 대한 항체 수치가 ... ...
키 큰 나무들이 가뭄에서 아마존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20m 이하의 작은 나무들에 비해 강수량의 영향을 3배 가량 덜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차이
는 뿌리 시스템에 있었다. 키가 큰 나무는 작은 나무보다 토양의 더 깊은 곳까지 접근할 수 있는 뿌리를 가지고 있어 가뭄에 보다 잘 버틸 수 있다. 지구가 기후변화로 몸살을 앓는 가운데, 가문 날씨 ... ...
광합성하고 대사 활동하는 인공 세포 만들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빛을 이용해 제어가 가능하다. 신 교수는 “환경에 따라
차이
는 있지만 최소 한 달 이상은 광합성을 비롯한 대사 활동을 지속하며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진화 초기의 원시 단계 세포와 매우 유사한 형태다. 현재까지 인공적으로 구현된 세포 중 ... ...
이전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