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남아공 세 곳에 관측시스템(KMT Net)을 설치해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PART2. 탐사선 : 위대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살고 있지만 아직 카메라에 담지 못한 대륙의 문화와 풍경이 많다. 그는 “앞으로도
계속
중국의 곳곳을 발로 누비며 환상적인 풍경을 소개할 것”이라고 밝혔다.[붉은 흙 : 다랑논의 경계 사이로 보이는 붉은 흙이 하얀 구름과 선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논에서 자라는 다양한 색의 작물은 대지를 ... ...
[과학뉴스] 초대칭이론은 필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현상(붕괴)을 분석하면 초대칭이론이 필요한지 여부를 알 수 있으리라고 보고 연구를
계속
해 왔다. 최근 그 결과가 나왔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연구진은 양성자 충돌 실험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닥 쿼크가 정확히 표준모형에서 예측하는 대로 행동한다는 ... ...
[Knowledge] 금속 유물에 숨결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합니다. 일명 ‘청동병’이라고 불리는 부식도 일어납니다. 청동병 같은 부식이
계속
되면 유물이 겉에서부터 부식돼 가루가 됩니다. 이를 막고자 청동 유물은 벤조트리아졸이라는 약품과 에탄올을 섞어 담급니다. 유물 표면에 얇은 막이 생겨서 부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가장 과학적인, 가장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레기 RNA의 반란에 주목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노력한다. 노 : 그래서 이대엽 교수가 항상 그렇게 웃으셨구나(웃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소개한다. 이것만 알면 당신도 이제 후성유전 언어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들기 위해 이 3요소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과학적으로 분석해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포영화의 히로인이 될 확률이 높다(다음 장에서 실험으로 확인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경향이 있었다. 18세기는 오늘날 만큼이나 탐식의 전성시대였던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