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센터 다차원분광팀이 아시아 최초로 다차원분광기 개발에
성공
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하 박사는 “현재 고려대 화학과 연구팀과 1차원분광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변형과정을 분석한 뒤 차원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태양광전지에 사용되는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블레이드 시스템’이라는 항공기 기술을 이용해 소형 풍력발전기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이 성과로 김 교수는 2008년 10월 서울대에서 처음으로 제정한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사이클로 블레이드를 설계할 때 최적의 블레이드 날 각도를 슈퍼컴퓨터를 써서 계산했고 효율적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이어 2007년 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교수팀이 역시 세계 최초로 늑대를 복제하는데
성공
함으로써 우리나라는 동물복제의 메카가 됐다. 지난해에는 애완견 복제를 시작함으로써 복제 상업화의 막을 올렸다.지난해 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복제소나 복제돼지를 먹어도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발표해 큰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일본의 우주전파망원경 아스트로-G는 최대 3만 6000㎞의 궤도를 돌게 된다. 지상과 연결에
성공
한다면 구경이 지구보다 큰 망원경이 우주에 떠 있게 되는 셈이다. 천체망원경 상식우주를 더 자세히 보기 위한 천문학자들의 노력이 대단하지요? 마지막으로 앞에서 미처 들려주지 못했던 망원경에 ... ...
2008년 세계를 뒤든흔 과학 Big 5!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한 명이 우주 공간까지 나갔다가 무사히 돌아온 거야. 러시아와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성공
한 거지.그런가 하면 인도는 일본의 가구야, 중국의 창어 1호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달 탐사위성‘찬드라얀 1호’를 발사했어. 이 우주선은 앞으로 2년 동안 달 주위를 돌며 표면을 관측하고 지질 ... ...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가해 강렬한 빛을 얻어 냈다. 가스등을 이용해 실내 오페라 무대에서 달빛을 연출하는 데
성공
하면서 널리 퍼졌다.➏ 백열전구1879년 에디슨이 진공 속에서 탄화된 실을 유리구 안에 넣고 백금을 사용해 바깥과 연결한 뒤, 전기로 불을 밝힐 수 있는 백열전구를 만들었다.➐ 형광등1930년대 말 수은과 ... ...
“누구~?”인공지능과의 채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많은 심판관을 속인 프로그램에게 주어지는 상이에요. 엘봇은 25%의 심판관을 속이는 데
성공
했어요. 12명의 심판관 중 3명이 엘봇을 사람이라고 생각한 거죠. 엘봇의 홈페이지(www.elbot.com)에서 인공지능 프로그램과의 채팅에 도전해 보세요 ... ...
우리가 쏘아 올릴 작은 별, KSLV-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로켓과 과학기술위성 2호는 순수 우리기술로 만들어 그 의미가 더욱 커요.내년 초 발사에
성공
하면 자국의 힘으로 위성을 쏘아올린 9번째 나라이면서, 자국 내 우주로켓 발사장을 가진 13번째 나라가 된답니다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세 번째 나라가 되었다.수집한 자료를 찬찬히 살펴보니 문제는 중국이 우주 유영에
성공
했다는 증거 자료로 공개한 동영상. 많은 사람들이 이 동영상이 물 속에서 촬영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던 것이다. 심지어는 NASA에 소속된 연구원 중에도 조작설을 주장하는 사람이 등장했다.그들의 주장을 듣자 ... ...
외계 행성이 사진에 찰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이용해 목성보다 8배 정도 큰 행성이 이 별 주위를 돌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
했답니다. 지금까지 외계 행성이 발견된 적은 많았지만, 이렇게 태양과 비슷한 별 주위를 도는 행성이 사진에 직접 찍힌 것은 처음이라고 해요.연구팀은 이 둘이 정말로 서로의 주위를 도는 관계인지 확인하기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