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성질을 가진 생체 단백질 페리틴에 붙였다.하나일 때보다 크기가 크고 줄기 부분도 여러 개 붙어 있어, 면역반응이잘 일어나고 면역원성도 강해진다. ▲미국국립보건원(NIH)의 제프리 보잉턴 박사가 그린 인플루엔자 범용 백신의 원리.H1N1과 H5N1 아형 바이러스의 HA 단백질에서 유전적 차이점을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유클리드의 ‘원론’도 있었지요. 프란체스카는 파촐리에게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여러 수학을 알려줬어요. 그 내용이 흥미로웠던 파촐리는 수학 지식을 더 보태 ‘신성한 비율’이라는 책을 씁니다. 이 책은 예술가 사이에서 인기를 끌지요.파촐리는 책에서 황금비를 신이 만든 비라며 ... ...
- Intro. 인공신경망 번역 수학이 다 알아서 한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러 가지 언어를 자유자재로 번역하는 인공지능의 눈에는 언어가 어떻게 보일까?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번역은 단어나 문장을 공간 속의 점으로 인식한다. 인공신경망의 눈에는 언어가 우주 공간 속 별무리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이런 수학적인 공간이 어떻게 다시 우리가 원하는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합쳐진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된 뒤부터 시작된다고 보고 있어요. 착상된 뒤 수정란은 여러 개로 분열되는데, 이러한 성장 과정 또한 노화의 일부로 보는 거예요.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20~30대가 돼서야 ‘늙는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태어난 뒤 어른이 되기까지는 성장이 더욱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짊어지고 실시간으로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걸음을 내딛는 것은, 대퇴부에서 발끝까지 여러 관절과 근육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이고 조화롭게 협업해야만 가능하다. 이때 뇌의 역할이 중요하다 뇌졸중에 걸려 다리의 운동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 손상되면 걸을 수 없는 이유다. 이 환자가 다시 걸을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지만 최근 뇌과학에서는 어느 한 부위가 활성화돼서 특정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위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PTSD 역시 편도체와 시상, 뇌섬엽, 해마, 복내측전전두피질 등 다른 부위와의 연결망을 분석해 뇌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오히려 청소물고기에게 이제 그만 청소하라고 신호해서 입 밖으로 내보내는 행동이 여러 종에서 관찰된다. 큰 물고기가 청소물고기를 살려준 선행은 다음 번에 만나서 기생충을 제거 받음으로써 보답을 받는다는 것이다.하지만, 악행을 안 했으니 선행이라는 논리는 이상하다. 게다가 한 가지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다”고 말했다.게놈 해독 10만 원 시대… 앱으로 질병 예측할까이런 문제가 있음에도 여러 과학자들이 DNA 공유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규모가 커진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게놈을 상세히 이용하고, 이를 통해 개인 맞춤 의학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하기 때문이다. 서정선 소장은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한다.이쯤에서 구글 개발팀은 궁금한 게 생겼다. 번역 알고리즘 하나로 여러 언어를 번역할 수 있다면, 직접 배우지 않은 언어도 번역할 수 있을까? 즉, 영어와 한국어, 영어와 일본어를 번역하는 법을 각각 배운다면 한국어와 일본어도 번역할 수 있을까? 컴퓨터는 추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보통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해저지각 속에 숨겨진 지구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미국, 유럽, 일본, 중국, 한국 등 여러 나라 과학자들이 힘을 합쳤어요. 바로 ‘국제해저지각시추사업(IODP)’이랍니다. 전세계 과학자를 태운 거대한 시추선을 바다에 띄우고, 직접 드릴로 해저지각을 뚫어 샘플을 채취해 분석하는 연구죠.현재 ... ...
이전330331332333334335336337338 다음